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준비할 것
1. 촛대 한 쌍과 하얀 초 두개와 성냥 2. 포도주(쥬스)와 유리잔 3. 물주전자와 손씻을 그릇과 수건 4. ‘할라’빵 두개 5. 소금 뿌리개 6. 빵을 덮을 내프킨 7. 생선요리가 주가 되는 저녁식사.
여자
1. 준비기도
(여자는 머리에 스카프를 쓰고 일어서서 준비기도를 한다. )
“하늘에 계신 아버지, 이 저녁에 당신이 주신 안식과 평화에 대하여 감사합니다. 성령이시여, 우리의 안식에 동참하시옵소서.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당신의 샬롬으로 채워 주소서. 당신의 평화는 이 세상에서 가장 좋은 것들 보다 더 좋습니다. 우리 모두를 인도해 주셔서 우리가 서로를 말과 행동으로 축복하게 하옵소서. 우리의 가정과 가족에게 복을 주옵소서. 우리에게 당신의 영을 부으셔서 당신의 안식에 참여하게 하옵소서. 우리 가정에 오시옵소서.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당신께서 직접 주관하셔서 예수님의 복음을 전할 수 있게 하옵소서. 예수님은 구세주로 오셨고 십자가에 죽으셨다가 부활하셨고 이제 다시 오실 것입니다. 예슈아 하 마쉬아흐, 구세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2. 촛불켜기
“하나님께서 여자인 마리아를 통해서 세상의 빛되신 예수님을 보내셨습니다.”
“우리의 주님이시요, 하나님이시요, 온 세상의 왕이신 당신께 복이 있습니다. 당신은 우리를 당신의 계명으로 따로 세우셨고 우리로 하여금 안식의 빛을 밝히게 하심으로 우리를 즐겁게 하셨습니다. 여기 창조의 빛이 있습니다.”
(여자가 눈을 가리고 첫번째 초에 불을 붙이고 창세기 1장 1절과 3절을 말한다.)
“하나님이 태초에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하나님이 가라사대 빛이 있으라 하매 빛이 있었고... 여기 구속의 빛이 있습니다.”
(여자가 눈을 가리고 두번째 초에 불을 붙이고 요한복음 8장 13절을 암송한다.)
“예수께서 또 일러 가라사대 나는 세상의 빛이니 나를 따르는 자는 어두움에 다니지 않고 생명의 빛을 얻으리라”
(여자는 앉아서 자녀(들)를 위해 기도한다.)
남자
3. 축복
(남자는 여자를 위해 잠언 31장 10-31절 말씀을 읽어준다.)
“누가 현숙한 여인을 찾아 얻겠느냐 그 값은 진주보다 더하니라 그런 자의 남편의 마음은 그를 믿나니 산업이 핍절치 아니하겠으며 그런 자는 살아 있는 동안에 그 남편에게 선을 행하고 악을 행치 아니하느니라 그는 양털과 삼을 구하여 부지런히 손으로 일하며 상고의 배와 같아서 먼 데서 양식을 가져오며 밤이 새기 전에 일어나서 그 집 사람에게 식물을 나눠주며 여종에게 일을 정하여 맡기며 밭을 간품하여 사며 그 손으로 번 것을 가지고 포도원을 심으며 힘으로 허리를 묶으며 그 팔을 강하게 하며 자기의 무역하는 것이 이로운 줄을 깨닫고 밤에 등불을 끄지 아니하고 손으로 솜뭉치를 들고 손가락으로 가락을 잡으며 그는 간곤한 자에게 손을 펴며 궁핍한 자를 위하여 손을 내밀며 그 집 사람들은 다 홍색 옷을 입었으므로 눈이 와도 그는 집 사람을 위하여 두려워하지 아니하며 그는 자기를 위하여 아름다운 방석을 지으며 세마포와 자색 옷을 입으며 그 남편은 그 땅의 장로로 더불어 성문에 앉으며 사람의 아는 바가 되며 그는 베로 옷을 지어 팔며 띠를 만들어 상고에게 맡기며 능력과 존귀로 옷을 삼고 후일을 웃으며 입을 열어 지혜를 베풀며 그 혀로 인애의 법을 말하며 그 집안 일을 보살피고 게을리 얻은 양식을 먹지 아니하나니 그 자식들은 일어나 사례하며 그 남편은 칭찬하기를 덕행 있는 여자가 많으나 그대는 여러 여자보다 뛰어난다 하느니라 고운 것도 거짓되고 아름다운 것도 헛되나 오직 여호와를 경외하는 여자는 칭찬을 받을 것이라 그 손의 열매가 그에게로 돌아갈 것이요 그 행한 일을 인하여 성문에서 칭찬을 받으리라”
(남자는 여자 어깨에 손을 얹고 축복기도를 한다.)
“주님. 이 여자에게 당신께서 복주심을 감사합니다. 이 여자의 마음과 생각에서 모든 두려움과 의심을 거두어 주옵소서. 당신께 간구하오니 이 여자의 발걸음을 인도하셔서 사탄의 길로 가지 않게 하시고 사탄으로부터 보호해 주시옵소서. 이 여자로 하여금 제가 당신께 헌신되었다는 것과 이 여자에게 헌신되었다는 것을 알게 하옵소서. 예슈아 하마쉬아, 구세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남자는 아이(들)를 위해 시편 127편 3절을 암송한다.)
“자식은 여호와의 주신 기업이요 태의 열매는 그의 상급이로다.”
(남자는 아이의 머리에 손을 얹고 축복기도를 한다.)
“주님. 이 아이(들)에게 복주심을 감사합니다. 이 아이(들)을 성령 충만케 하시도록 간구합니다. 이 아이(들)의 발걸음을 지켜 주시옵소서. 이 아이(들)의 성품이 당신의 온전함을 닮게 하소서. 그리하여 진리 안에서, 명예와 빛 안에서 살아가게 하소서. 이 아이(들)로 부터 두려움을 옮겨 가시고 당신의 성령으로 채우시옵소서. 이들이 당신의 구원을 알게 하시고 그 구원을 전파하기 위해 일하게 하소서. 예슈아 하 마쉬아흐, 구세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4. 포도주 나누기
(남자는 마 26.27-28를 암송한다.)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이후 손가락 끝을 위로 향하게 해서 잔을 잡는다. 하나님의 자녀가 하나님을 바라는 모습이다. 남자는 모든 잔에 포도주를 부어준다. 모두 잔을 든다. 남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우리 주님이시요 우리의 하나님이시요 이 세상의 왕이신 당신께 복이 있습니다. 당신은 포도나무와 그 열매를 창조하셨습니다.”
(포도주를 함께 마신다.)
5. 손씻기
(남자는 이사야 44장 3절, 12장 3절을 암송한다.)
“대저 내가 갈한 자에게 물을 주며 마른 땅에 시내가 흐르게 하며 나의 신을 네 자손에게, 나의 복을 네 후손에게 내리리니... 그러므로 너희가 기쁨으로 구원의 우물들에서 물을 길으리로다”
(이어 요한복음 7장 37절을 암송한다.)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나를 믿는 자는 성경에 이름과 같이 그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나리라”
(다음과 같이 기도한다.)
“우리의 주님이시요, 우리의 하나님이시요, 이 세상의 왕이신 당신께 복이 있습니다. 당신은 손을 씻으라는 당신의 계명으로 우리를 깨끗하게 하셨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손과 우리 자신을 당신께 드립니다.”
(남자가 물이 든 주전자를 들어 한사람씩 앞으로 오게 해서 손에 물을 부어 씻게 한다. 한손에 세 번씩 부어준다.)
6. 빵 나누기
(남자는 레위기 24장 5-9절을 읽는다.)
“너는 고운 가루를 취하여 떡 열 둘을 굽되 매 덩이를 에바 십분 이로 하여 여호와 앞 순결한 상 위에 두 줄로 한 줄에 여섯씩 진설하고 너는 또 정결한 유향을 그 매 줄 위에 두어 기념물로 여호와께 화제를 삼을 것이며 항상 매 안식일에 이 떡을 여호와 앞에 진설할지니 이는 이스라엘 자손을 위한 것이요 영원한 언약이니라 이 떡은 아론과 그 자손에게 돌리고 그들은 그것을 거룩한 곳에서 먹을지니 이는 여호와의 화제 중 그에게 돌리는 것으로서 지극히 거룩함이니라 이는 영원한 규례니라”
(남자는 할라빵을 들고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이 빵은 ‘할라’입니다. 빵 둘은 이스라엘 백성이 시내광야에 있을 때 안식일 전날 만나를 이틀분 거둘 수 있었던 것을 상징합니다. 헝겊으로 이 빵을 덮는데 아침에 지면을 덮었던 이슬을 상징합니다. 할라빵은 사람이 팔짱을 끼고 쉬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이 빵은 생명의 빵인 예수님을 상징합니다.”
(요한복음 6장 51절을 암송한다.)
“나는 하늘로서 내려온 산 떡이니 사람이 이 떡을 먹으면 영생하리라 나의 줄 떡은 곧 세상의 생명을 위한 내 살이로라”
(남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우리의 주님이시요 우리의 하나님이시요, 세상의 왕이신 당신께 복이 있습니다. 당신은 땅의 흙으로부터 빵을 만드셨습니다.”
(남자가 첫번째 빵을 나누어 주고 먹게 한다. 두번째 빵은 나누기 전에 빵에 소금을 뿌리면서 창세기 3장19절을 암송한다.)
“네가 얼굴에 땀을 흘려야 식물을 먹고...”
(또한 소금은 변치않은 언약의 상징임도 설명한다. 할라빵은 칼을 사용하여 썰지 않는다. 칼은 죽음의 상징이기 때문이다. 이후 두번째 빵을 나눈다.)
7. 특별한 식사
(할라빵과 포도주와 함께 생선요리가 주가 되는 음식으로 저녁식사를 한다. 이 식사만큼은 레위기 11장의 규정을 따른다. 먹을 수 있는 것이라도 출애굽기 23장 19절에 따라 그 동물의 어미의 젖과 함께 먹지 못한다. 우유빵과 함께 스테이크나 치즈버거를 먹지 못한다. 안식일에 생선을 먹는 것은 빵에 우유가 들어있기 때문에 육류를 먹을 수 없기 때문이다. 식사 도중에는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말을 하고, 가족의 안부를 묻는 덕담을 나누도록 한다.)
8. 식사 후 영광송
(식사 후에 남자는 신명기 8장 10절을 암송한다.)
“네가 먹어서 배불리고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옥토로 네게 주셨음을 인하여 그를 찬송하라”
(암송 후 다음과 같이 기도한다.)
“하늘에 계신 아버지! 우리에게 주신 복을 감사합니다. 제게 주신 이 가족에게 복주심을 감사합니다. 간구하옵나니 우리 각자에게 힘을 주셔서 서로 사랑하게 하시고 우리로 성령충만케 하셔서 당신의 이 안식을 누릴 수 있게 해주시옵소서. 저는 당신께 예슈아 하 마쉬아흐 우리 구세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는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 오셨고 죽으셨고 다시 살아나셨고 곧 다시 오셔서 그 이름을 믿는 모든 자들을 받아주실 것입니다. 예슈아 하 마쉬아흐, 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9. 안식
(다음날 해질 때까지 남은 모든 것들은 그대로 식탁에 두고 휴식에 들어가고 하나님의 나라를 즐기도록 한다.)
'━━ 지성을 위한 ━━ > 이스라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1.26 |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1.25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1.22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1.21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