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4.5.1. 서론
유대교의 모든 절기는 그 날짜의 전날 저녁에 시작한다. 왜냐하면 유대인들의 하루는 창세기 1장에서 보듯이 일몰에서 시작하여 그 다음 일몰까지이기 때문이다. 일몰은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절기의 시작 시각도 지역마다 다르다.
4.5.2. 절기에 일할 수 있는가?
로쉬 하샤나, 욤키푸르, 수꼬트의 첫째날과 둘째날, 쉐미니 아쩨레트, 심크하트 토라, 샤브오트, 페싹의 첫째날, 둘째날, 일곱째날과 여덟째날은 샤밭처럼 일할 수 없다. 그러나 샤밭과 달리 요리하기, 빵굽기, 불 옮기기는 할 수 있다. 절기가 샤밭과 겹치면 샤밭의 규칙을 우선하여 지킨다.
4.5.3. 절기의 다른 날들
유대교의 절기는 성경이 말하는 것과 일치하지 않는 수가 있다. 대개 유대인들은 성경이 말하는 날들보다 하루 더 많이 지킨다. 이렇게 된 데에는 이유가 있다. 유대력은 음력으로 새로운 초승달과 함께 새 달이 시작된다. 새 달은 관측에 따라 정해진다. 새로운 초승달이 관측되면 산헤드린은 새 달을 선포하고 이를 모든 유대인들에게 알린다. 멀리 사는 유대인들은 이 새 달의 선포를 듣지 못할 수도 있다. 그래서 선포를 듣지 못한 이들은 앞의 달이 29일이나 30일로 끝난다고 생각하고 날짜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런 이유에서 유대인들은 정확한 유대력을 사용하면서 아울러 융통성있게 절기를 지킨다. 이런 융통성있는 절기 준수는 지역마다 다르게 하지 않고 하루를 더 늘림으로써 전 세계의 유대인들이 지키도록 배려하는 것이다.로쉬 하샤나는 이스라엘에서나 그 밖에서나 항상 이틀 동안 지킨다. 절기를 선포하는 사람들이 절기 당일에는 일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스라엘에 있는 사람들도 알지 못해서 절기를 지키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사람이 로쉬 하샤나를 이틀 동안 지키는 것이다. 욤 키푸르는 어디에서나 오직 하루만 지킨다. 왜냐하면 이 날의 규정이 너무 엄격하여 이틀을 지키면 힘들기 때문이다.
4.5.4. 티슈리 월
그레고리안 력의 9월과 10월에 놓이는 티슈리 월은 유대 절기가 가장 많이 들어 있는 달이다. 이 달은 종교적으로 의미가 있는 날들이 열 사흘이나 있다. 그 가운데 7일은 일을 하지 못한다. 그 가운데서도 로쉬 하샤나와 욤 키푸르가 중요하다. 이 날들에는 전 세계 유대인들의 절반 이상이 회당 예배에 참석한다.
'━━ 지성을 위한 ━━ > 이스라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1.28 |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1.27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1.25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1.23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