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쉐바트 15일은 ‘투 브쉐바트’로 나무들의 신년이다. ‘투’는 히브리 문자 타우와 바브로 15란 의미다. 유대력에는 몇개의 신년이 있다. 레위기 19장 23-25절에 따르면 나무가 열매를 맺기 시작하면 3년 동안은 그 열매를 먹지 않는다. 4년째에 익은 열매는 하나님의 것이며 하나님께 바쳐야 한다. 이후에 익은 열매를 사람이 먹을 수 있다. 모든 나무는 투 브쉐바트에 한 살을 먹는다고 유대인들은 생각한다.
만약 쉐바트 14일에 나무를 심으면 그 다음날 이 나무는 두번째 해를 맞는다. 이보다 이틀 늦게 나무를 심으면, 즉 쉐바트 16일에 심으면 그 다음 투 브쉐바트가 되어야 두번째 해를 맞게 되는 것이다. 투 브쉐바트는 토라에 언급되어 있지 않다. 미쉬나에 한번 언급되어 있다. 샴마이 학파는 투 브쉐바트를 쉐바트 첫날이라고 했고 힐렐학파는 쉐바트 15일이라고 했다. 오늘날 유대인들은 힐렐학파의 주장을 따르고 있다. 투 브쉐바트 때 첫 과실을 먹는다. 이날 나무를 심기도 하고 어린이들은 이스라엘을 위해 나무 심을 돈을 모금하기도 한다.
부림절은 유대력에서 가장 즐겁고 재미있는 절기이다. 이 날은 페르시아에 있던 유대인들이 음모로 부터 해방된 일을 기념한다. 부림절 이야기는 성경 에스더서에 실려 있다. 부림절의 영웅은 페르시아에 살던 아름다운 유대인 여자 에스더와 그녀를 키운 그녀의 사촌 오빠 모르드개이다. 에스더는 페르시아의 왕 아하수에로의 하렘에 들어갔다가 그의 부인이 되었다.
그러나 아하수에로는 에스더가 유대인인줄 몰랐는데 모르드개의 권고로 에스더는 그녀가 유대인임을 아하수에로에게 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만이라는 자는 교활하고 이기적인 인간이었지만 아하수에로가 총애했다. 하만이 높은 지위에 올라 모든 사람들이 그 앞에 꿇어 엎드렸지만 오로지 모르드개만 그것을 거부했다. 이 때문에 하만은 모르드개를 증오하게 되었고 결국 모르드개의 민족인 유대인들을 멸절시킬 음모를 꾸몄다.
모르드개는 에스더에게 아하수에로 왕 앞에 나가 사실을 고하고 유대인을 구하도록 종용했다. 그러나 왕 앞에 함부로 나가면 목숨을 부지하기 어려웠다. 에스더는 사흘을 금식한 후에 죽음을 무릅쓰고 왕 앞에 나가 그의 사랑을 얻어냈다. 에스더는 하만의 음모를 왕에게 말했고 상황은 반전되었다. 유대인들은 구원을 받게 되고 하만의 무리들이 죽음을 당한 것이다. 성경의 에스더서에는 하나님이란 말이 한번도 나오지 않는다. 그리고 이야기 자체가 하나님과 상관없는 것처럼 전개된다. 물론 이것은 하나님께서 보이지 않게 역사하신 것을 말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외경의 에스더서는 아주 정감이 있다.
부림절은 아달 14일이고 대개 3월에 있다. 아달 14일에 하만이 푸르라는 주사위를 던져 유대인들을 학살할 음모를 꾸몄다. 아달이 두번 있는 윤년에는 두번째 아달 14일이 부림절이 된다. 그러므로 부림절은 항상 유월절보다 한 달 앞서게 되는 것이다. 성(城)에서 사는 유대인들은 아다르 15일을 부림절로 지켰다. 슈샨이라고 하는 성에서는 15일까지 유대인들의 구원이 지속되었기 때문이다. 부림은 푸림으로 하만이 사용한 주사위를 말한다. 부림절은 에스더 금식일 다음에 온다. 에스더는 사흘동안 금식하면서 왕 앞에 나갈 준비를 했다.
부림절에는 회당에서 에스더서를 낭독한다. 에스더서는 두루마리 메길라흐로 되어 있다. 에스더서를 읽을 때는 ‘하만’이란 말이 나오면 와우~, 쉿~ 하며 소리를 내거나 발을 구르거나 래틀그래이져스라는 도구를 이용해서 소음을 낸다. 하만에 대한 증오를 표현하는 것이다. 부림절에는 즐겁게 먹고 마시고 논다. 탈무드에 따르면 음식과 음료를 선물로 보내기도 하는데 이것은 샬라흐 마노스(우리의 몫을 보낸다)란 의미다. 아쉬케나짐은 ‘하만타쉔’이라는 삼각형의 쿠키를 만들어 먹기도 하는데, 하만이 쓰고 다녔던 삼각형 모자를 상징한다.
'━━ 지성을 위한 ━━ > 이스라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2.07 |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2.06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2.03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1.30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