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향한 최초의 결단] 죤 헤론 조선을 향한 선교사의 반응이 이루어 지게 되는데, 그 중 제일 먼저 선교사로 반응한 젊은이는 의사였던 죤 헤론 (John W. Heron) 이었습니다. 그는 조선에 의사 선교사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듣고 "의약품과 의료기기 얼마를 준비할 수만 있다면 나는 지금이라도 당장 떠나겠습니다. 조선에 제일 먼저 도착하는 선교사가 되고 싶습니다" 라고 말하며 조선을 향한 마음을 불태웠습니다. 특별히 그의 모교인 테네시 종합의과대학에서는, 개교 이래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한 죤 헤론을 교수로 내정하고 있었기 때문에 더욱 더 조선 선교사로 오는데 장벽이 되었습니다. 의미도 있?보람도 있고 명예와 부가 보장된 그 길을 뒤로하고 , 정치적으로 불안하고 , 병이 득실거리는 낯선 이국 땅에 찾아 온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그에게는 열방을 품은 주님의 마음이 있었습니다.
우리 나라에 갑신정변이 일어나면서 그는 즉시 선교부의 편지를 받고 일본에서 더욱 더 조선말을 배우며 준비하며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 때 나중에 파송을 받고 왔던 언더우드와 아펜젤러 선교사가 1885년 4월 5일 입국하게 되면서 그는 바로 뒷 배로 조선땅에 입국하게 됩니다. (1885년 6월 21일) 그 병원은 서울 을지로 2가로 이사를 하면서 제중원이 되었습니다. 광혜원이 왕족과 양반계급을 위한 병坪潔駭摸?제중원은 모든 천민에게까지 혜택을 주기 위한 병원이었습니다. 선교사님들이 모두 피서를 떠난 후에도 최선을 다해 환자들을 돌보시다 , 이질로 몸져 드러눕게 되었고, 마지막 순간까지 함께 일하던 조선사람에게 복음을 전하고 이 땅에서 그 귀한 생명을 잃었습니다. 고종은 성에서 10리 떨어진 곳에, 그를 묻을 수 있는 땅을 주었는데, 그곳이 합정동 선교사 묘지가 되었습니다. |
'━━ 영성을 위한 ━━ > 신앙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존에 삶을 바친 수녀 (0) | 2007.09.11 |
---|---|
대통령 취임식때 애국가부른 임형주군 (0) | 2007.09.10 |
거룩함과 성숙 대천덕 신부님 글 (0) | 2007.09.08 |
성숙한 연주자로 우뚝 선 첼리스트 장한나 (0) | 2007.09.07 |
[워치만 니] 그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된 경위 (0) | 2007.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