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성을 위한 ━━/신앙인물

죤 낙스와 스코틀랜드 종교개혁

Joyfule 2021. 8. 26. 07:57



신앙위인 - 죤 낙스와 스코틀랜드 종교개혁    

         

4. 죤 낙스의 신학 사상


낙스는 위대한 설교자요 개신교 신앙의 변호자였다그러나 칼빈과는 달리 그의 신학을 조직적으로 진술하지 않았다물론 이것은 낙스가 신학에 관심이 없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우리는 그가 남긴 글들을 통해서 그의 신학을 엿볼 수 있다(소책자소논문개인적인 편지들). 유감스럽게도낙스의 신학에 대한 철저한 연구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여기서는 제한된 주제 안에서 그의 신학 사상을 다루고자 한다.

 

(1) 낙스의 신학에서의 언약(covenant)

비록 낙스가 언약신학을 충분히 전개시키지는 않았지만 분명히 언약 사상은 낙스의 사상에 있어서 주도적인 개념이다. 낙스의 언약 개념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그의 이해로부터 출발해야 한다모든 프로테스탄트 개혁자들처럼낙스는 말씀의 사람’(man of the Word)이었다.

낙스에 의하면우리는 말씀으로부터 생명과 힘과 영구적인 위로를 받는다낙스는 하나님의 말슴이 우리의 어머니요 유모라고 했다.

말씀 안에 거하는 것은 하나님을 아는 지식 안에 거하는 것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수적이다낙스는 말하기를하나님의 말씀이 없을 때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모두 죽은 자(we are all dead in the presence of God)라고 했다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말씀은 영적인 고기와 음료이다이러한 양식을 통해서 우리의 영적 생명이 보존된다따라서 낙스는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의 말씀을 매일 연구하도록 권면하고 있다이로써 우리는 하나님의 입으로부터 위로를 받을 수 있다.

낙스는 구약성경이 모든 면에서 그의 시대에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따라서 구약의 선지자들이 타락한 왕들과 우상숭배에 대적한 것은 낙스에게 의미심장한 것이었다하나님의 영생의 선물을 구하는 자는 우상숭배로부터 등을 돌려야 한다고 했다낙스는 로마교회의 미사(the Roman Mass)를 우상숭배적 관점에서 이해하였다.

낙스에 의하면 고위 공직자들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우상숭배자들을 제거해야 한다심지어 우상을 숭배하는 관리와 왕들에게도 이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낙스는 종교개혁의 원리인 이신칭의의 원리를 분명하게 파악하고 있었다낙스는 그리스도 안에서의 하나님의 은혜 언약의 본질을 이해하고 있었다그러나 그는 스코틀랜드를 거룩한 나라로 만드는 데 관심을 갖고 있었다이를 위해서는 로마교회의 우상숭배로부터 벗어나야만 했다따라서 그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위해 마련하신 언약보다는 거룩한 나라가 되도록 우리가 하나님과 언약을 맺는 일(our covenanting with God to be a holy nation)을 강력하게 되었다.

 

(2) 믿음과 확신(Faith and assurance)

칼빈처럼낙스는 성경 가운데 포함된 하나님의 약속과 그리스도에게로 우리의 믿음의 눈을 향하게 한다우리는 우리 자신과 우리의 무가치함으로부터 눈을 돌려서십자가에 죽으신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이다낙스는 그의 장모(Bowes 부인)에게 보낸 편지에서 말하기를예수 그리스도의 피 안에는 죄사함을 원하는 모든 사람을 위한 확실한 죄 씻음(cleansing of sin)이 있다고 했다.

사탄은 우리의 믿음을 공격하고 우리를 넘어뜨리려고 한다심지어 우리로하여금 그리스도를 부인하는 자리에까지 내려가게 만들고자 한다그래도 우리는 절망하지 말아야 한다왜냐하면 사도들도 한때 그리스도를 부인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주님께서는 그들을 부인하지 않으셨다이러한 시련들이 사실상 우리에게 유익을 준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은 중요하다왜냐하면 이 시련들은 우리로하여금 우리 자신을 신뢰하지 않도록 인도하기 때문이다따라서 시련을 겪음으로써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약속에만 의지하게 된다.

낙스에 의하면사탄이 우리를 시험하고 공격하는 것은 우리에게 믿음이 있다는 표식이다즉 그리스도인에게 영적 전투가 있다는 것은 그의 믿음의 표식(sign)이다따라서 자신의 믿음에 관하여 양심 가운데 고민과 갈등이 있다는 것은 그가 선택받은 표식이라는 것이다물론 낙스의 이러한 생각은 우리의 구원의 확신을 위해 주관적 근거를 제공하는 오류를 보여준다. 이와같이 우리의 확신을 우리 자신 안에서 분별할 수 있는 어떤 것에 의존시킬 때 우리는 사실상 확신을 상실하고 우리의 느낌의 횡포에 종속되게 된다.

 

(3) 성례전

낙스가 교회관과 성례관에 있어서 칼빈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아는 것은 중요하다칼빈은 참된 교회의 표식에 있어서 두 가지를 지적했다(the preaching of the Word, the proper administration of the sacraments). 낙스는 세번째 표식즉 권징(church discipline)을 추가시켰다.

칼빈처럼낙스는 성찬에 참여하려는 자가 자기자신을 살펴야한다고 생각했다그러나 낙스가 권징을 교회의 표식의 수준으로 높였기 때문에장로들과 목사는 신자들이 그들 자신을 살피는 일을 지도해 줄 책임을 가지고 있었다그러므로 신자들은 목사와 장로들 앞으로 와서 그들의 신앙을 고백하고 또한 목사의 요구에 따라 교리적 요점에 대해서 대답을 해야 하는 것이다목사는 신자들이 성찬에 함부로 참여하지 않도록 권면해야 한다사실상주기도문과 신앙의 신조들 그리고 율법의 요약을 진술하지 못하는 자는 성찬에 참여할 수 없다는 것이다.

권징과 성찬을 이와같이 연결시키면 위험이 따르게 된다성찬에 참여해야 하는 자가 자기를 살피는 일’(self-examination)을 적절하지 않게 사용하게 된다는 점이다심지어 성찬이 회개한 자의 상징이 되버린다는 위험이 있다. 물론 낙스는 이러한 가르침에 있어서 성례전이 일차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에 관계되어 있다는 사실을 충분히 알고 있었다낙스에 의하면 성찬에 참여하는 자는 주님과의 영적인 연합 안에서 주님을 인식하고 주님의 복들을 이해해야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