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속담집 - 모/묘
못 먹는 떡에 침 뱉기.
자기가 먹지 못할 바에야 남도 못 먹게 한다는 놀부 심보를 두고 하는 말.
못 입어 잘난 놈 없고,잘 입어 못난 놈 없다. (북한)
잘난 사람도 돈이 없어 옷을 잘 입지 못하면 못나 보이고,
못난 사람도 돈이 많아 옷을 잘 입으면 잘나 보인다는 뜻.
- 비 : 옷이 날개.
목구멍이 포도청.
먹고 살기 위하여 범죄도 불가피하다는 뜻.
목구멍의 때도 못 씻었다.
음식을 자기 양에 맞도록 못 먹었다는 뜻.
목 마른 놈이 우물 판다.
급하고 아쉬운 사람이 서둘러서 빨리 그 일을 시작하는다는 뜻.
목 메인 개 겨 탐하듯.
이미 겨를 먹어 목이 메인 개가 또다시 겨를 탐낸다는 뜻이니,
책임을 조금도 감당 못하면서 자기 능력에 겨운 일을 바란다는 말.
목수 많은 집이 기울어진다.
제각기 주장하는 의사가 다르면 하고자 하는 일을 완성하기 힘들다는 뜻.
- 비 :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올라간다.
목 짧은 강아지 겨섬 넘겨다 보듯.
키가 작은 사람이 먼데 물건을 욕심내 목을 길게 빼고 훔쳐본다는 것이니,
자기 분수에 맞지 않는 것을 욕심낸다는 뜻.
목화 신고 발등 긁기.
구두 신고 구두 위로 가려운 곳을 긁는다는 말이니,
실제로 효과는 없지만, 정신적으로 위안은 받는다는 뜻.
(목화..옛날 관리의 정복에 도는 혼례때 신는 신)
몸에 좋은 약은 쓰다.
몸에 좋은것은 대부분 먹기에 힘들거나 쓰지만 약이 된다는 말.
맛이 없는 음식이나 약초 등을 먹이기 위하여 하는 말로도 자주 쓰임.
몸이 되면 입도 되다.
힘써 벌면 먹는 것도 비례하여 잘 먹게 된다는 뜻.
못된 나무에 열매만 많다.
아주 크게 자라지도 못한 나무에 열매만 잔뜩 달렸다는 말이니,
간난한 사람이 자식을 많이 두었을 때 쓰는 말.
못된 버섯이 삼월달부터 난다.
크게 이득이 없는 물건이 도리어 일찍부터 나와 돌아다닌다는 뜻.
못된 벌레 장판방에서 모로 긴다.
미워하는 자가 가장 잘난 척 하고 나설 때 쓰는 말.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 난다.
되지도 못한 자가 건방지고 좋지 못한 행동을 하는 것을 두고 하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