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Leadership

수퍼리더십 이론(SuperLeadership Theory)

Joyfule 2017. 4. 2. 20:55

   

 

3. 수퍼리더십 이론(SuperLeadership Theory)


▶ 수퍼리더와 셀프리더

최근에 등장하고 있는 새로운 리더십 이론으로 수퍼리더십 이론이 있다.

수퍼리더십 이론의 가장 핵심적인 사항은, 변혁의 시대에 있어서 리더는 수퍼리더(super-leader)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이야기하는 수퍼리더란 ‘구성원 개개인들이 자기 자신을 리드할 수 있는 셀프리더(self-leader)가 될 수 있도록 리드해가는 사람’으로 규정하고 있다.1)

수퍼리더십이 등장하게 된 배경에는 기업이 직면한 급격한 환경변화를 들 수 있다.  무엇보다도 세계적 경쟁이 격화되는 과정에서 기업은 인적자원을 충분히 활용하여 국제적인 경쟁력을 높혀야만 하는 부담을 가지게 되었으며, 급격한 변화 속에서 구성원 스스로가 끊임없이 변화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경영혁신의 과정에서 진정한 리더십의 발현은 외부로부터가 아니라 구성원 내부의 자각에서 비롯된다는 인식을 공유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전통적인 논리에 비추어 본다면 커다란 패러다임의 전환이다. 바로 구성원들 스스로가 자율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자신의 운명을 이끌어 가도록 그들의 잠재력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리더의 중요한 역할로 부각되게 된 것이다.



▶ 수퍼리더십의 전개과정

이같은 수퍼리더십의 전개과정은 다음 그림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림 2-3>  수퍼리더십 모델

 

 

 

수퍼리더십

 

 

 

 

 

 

 

 

 

 

모델링

 

 

지도

 

 

강화(보상)

 

 

 

 

 

 

 

격려

 

구성원의 셀프리더십

?셀프리더십 행동

?스스로 직무설계

?생산적 사고패턴

 

 

목표

 

 

 

 

 

건설적 질책

 

    셀프 리더십 시스템의 확립

   : 문화, 사회?기술적 조직설계, 팀

 

 

 

 

 

?

 

 

  구성원의

  조직몰입

  동기유발

  역략증대

?

결   과

성과 향상

혁신

?

우수한 

셀프리더 및

잠재적

수퍼리더의 확보

자료: C.C. Manz & H.P. Sims, 1989, "SuperLeadership: Beyond the Myth of Heroic Leadership", Organizational Dynamics, Spring, p.221.


즉, 수퍼리더는 구성원들을 셀프리더로 육성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학습하고 육성하여야 한다.  앞의 그림에서 개념화시키고 있는 셀프리더의 육성절차는 다음과 같은 7단계로 정리할 수 있다.

① 1단계 : 스스로 셀프리더가 되어라.

          수퍼리더십의 첫단계는 스스로 셀프리더가 되는 것이다. 훌륭한 수퍼리더는 스스로가 셀프리더가 되어야 한다.

   

② 2단계: 셀프리더십의 모델링이 되어라

          수퍼리더 스스로가 셀프리더십을 보여준다면 구성원들은 자연적으로 자신의 모델로 생각하고 받아들이게 된다. 모델링은 가장 기본적이고 효과적인 학습과정의 출발점이다.

③ 3단계: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도록 유도하라

         구성원들 스스로가 자신의 목표를 세우고 추진할 수 있을 때까지는 끊임없이 격려하고 동기부여 해주어야 한다.

 

④ 4단계: 긍정적 사고유형을 창조하라

         수퍼리더는 구성원들이 현재의 수준보다 더욱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주고 가이드해주면서 긍정적인 사고유형으로 이끌 수 있다.

⑤ 5단계: 보상과 건설적인 질책을 통하여 셀프리더십을 개발하라.

         수퍼리더가 구성원들의 셀프리더십을 발전시키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전략은 보상과 강화이다. 보상과 질책을 할 때는 적절하게, 신속하게, 그리고 적절한 양과 강도를 조절하여야 한다.

⑥ 6단계: 팀워크을 통한 셀프리더십의 조장

         수퍼리더는 자율개념의 확산을 조장하고 스스로 팀을 운영해 갈 수 있는 임파워먼트가 확산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⑦ 7단계: 셀프리더십 문화 촉진

         셀프리더십이 조직의 문화로 굳어지게 될 때 비로소 모든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은 안정적으로 구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차 속에서 모든 구성원이 셀프리더십을 갖게 되면, 구성원들은 조직의 몰입, 스스로에 대한 동기유발, 개인 역량의 증대라고 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조직의 성과가 향상되고 조직혁신을 이루게 된다. 바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우수한 셀프리더가 육성되는 것이며, 우수한 셀프리더는 다시 수퍼리더가 될 수 있는 잠재력 역시 가지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