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Leadership

카리스마 리더십(Charismatic Leadership)

Joyfule 2017. 3. 31. 15:35

   

1. 카리스마 리더십(Charismatic Leadership)


▶ 카리스마 리더십의 등장

카리스마란 원래 ‘gift (신이 주신 재능)’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하고 있으며, 미래의 사건을 예측하거나 또는 기적을 행하는 능력과 같이 신이 부여한 영적인 재능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이 카리스마를 사회과학의 개념으로 처음 적용한 사람은 1920년대 M. Weber였으며,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리더십의 새로운 개념으로서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이처럼 카리스마가 최근에 재해석되기 시작한 이유는, 최근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도 여전히 생존과 번영을 구가하고 있는 초우량기업들을 보면 대부분 강력한 카리스마를 발휘하고 있는 리더들에 의해서 이끌어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흔히 카리스마란 선천적으로 신으로부터 부여받은 능력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카리스마 리더십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카리스마란 집단의 구성원들이 ‘카리스마’라고 받아들이고 있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한다. 다시말하면, 남들이 갖지 못한 천부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기 보다는, 리더가 가지고 있는 어떠한 특성이나 행위에 대해서 조직 구성원들이 카리스마적이라고 인정하고 있는가에 따라서 카리스마가 생긴다는 것이다.


▶ 카리스마 리더의 특징

특히 Conger와 Kanungo는 카리스마 리더십으로 분류되는 리더들의 행위를 분석하면서, 카리스마 리더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특징을 정리하고 있다.★


① 미래의 비전 (Future Vision)

   카리스마 리더는 미래의 비전을 제시한다.  비전이란 미래에 달성하기 원하는 이상적인 목표를 말한다. 비카리스마적 리더가 현 상태를 지지하거나 점진적인 변화만을 주장하는 반면에, 카리스마적인 리더는 현 상태를 변화시키려고 노력한다.

② 상황의 정확한 판단 (Accurate Assessment of the Situation)

  카리스마 리더는 상황을 정확히 평가한다. 리더가 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정확히 평가하고 비전을 성취할 때, 구성원들은 이 리더를 카리스마 리더로 받아들이게 된다.

③ 기존관념에 얽매이지 않는 행위 (Unconventional Behavior)

  카리스마 리더는 기존 관념에 얽매이지 않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현재의 질서를 초월한다. 이상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카리스마 리더는 기존의 방식을 탈피한 방법을 사용하여, 구성원들로 하여금 리더가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고 느끼도록 한다.

④ 분명한 표현 (Articulation)

  카리스마 리더는 자신이 제시한 비전의 성취에 자신감을 가지고 이를 조직 구성원에게 분명히 표현한다. 카리스마 리더는 현 상태를 부정적이고 참을 수 없는 것으로 설명하고, 미래의 비전은 가장 매력적이고 달성 가능한 대안으로 설명하며, 단호한 행위과 자신감, 전문지식을 통하여 구성원들을 동기부여시킨다.

⑤ 개인적 권력의 이용 (Use of Personal Power)

  카리스마 리더는 개인적 권력을 이용한다. 비카리스마적 리더가 공식적 권한이나 참여적 의사결정에 의존하는데 비해, 카리스마 리더는 모범적인 행동과 기업가적 행위을 통하여 개인적 권력을 행사한다.

⑥ 카리스마 출현의 상황(The Context for Emergence of Charisma)

  카리스마 리더는 중요한 변화를 요구하는 위기상황이나 조직구성원이 현상태에 불만족하고 있을 때 주로 등장한다. 또한 심각한 위기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카리스마 리더는 현 상황에 대한 불만을 증폭시키면서 강력한 미래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