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성경에서 말하는 교회 리더십
4. 신약의 서신서를 통해 바라본 성경적 리더십 모델
1) 바울은 다른 사람들의 본이 되는 행위에 대해서는 크게 소문을 냄.
2) 그러나 직함이나 직책에 대한 관심은 서신 어디에도 전혀 보이지 않음.
3) 바울은 위기에 처한 교회에 편지를 쓸 때마다 언제나 지도자가 아니라 교회 전체를 수신자로 했음.
* 목회 서신인 디모데전후서와 디도서의 수신자는 교회가 아니라 바울의 동역자들임.
4) 더 놀라운 사실은 바울이 편지를 보낸 교회들이(예베소의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다 위기에 처해 있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울은 어느 경우에도 교회의 장로들에게 호소하지 않았음!
예) 신약성경에 언급된 교회 중 가장 소란스러웠던 고린도 교회의 경우 바울은 편지 처음부터 끝까지 장로들에게 단 한번도 호소하지 않음. 또한 그들을 징벌하거나 복종을 요구하지 않음. 아예 그들에 대해서 언급조차 하지 않았음!
☞ 그 대신 바울은 ‘온 교회’에 호소하면서, 스스로 자초한 상처를 다룰 책임이 온 교회에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고린도전서에서 바울은 ‘형제들’을 서른 번 이상 책망하고 그들에게 간청했음.
☞ 만약 고린도 교회에 직책이 있었다면, 바울은 분명히 그들에게 교회의 어려움을 해결하도록 이야기 했을 것임.
5) 이처럼 바울이 지위가 아닌 사역에 역점을 두고 있음을 주목 필요
- 그는 온 교회에 역점
- 서신 전체가 교회 문제를 처리하라는 전 교인들을 대상으로 한 권면
6) 고린도 교회에 직책으로서의 장로가 존재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가장 통렬한 예!
- 바울은 부도덕한 형제를 징계해 사탄에게 내어주라고 온 교회에 명함.
- 이 같은 바울의 훈계는 분명히 지금의 사고방식과 맞지 않아 보임.
- 왜냐하면 오늘날의 사고방식에서는 교회 권력을 가진 사람들만이 그런 막중한 일을 할 자격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
※ 바울은 각 교회에 보낸 아홉 편의 서신 그 어디에서도 장로들에 대해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음!
그 대신에 바울은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 ‘형제들’에게 행동을 촉구
※ 비록 바울이 교회에 보낸 마지막 서신인 빌립보서의 서두 인사말에서 ‘감독들’을 언급하고 있으나, 아주 잠깐 스쳐 지나가는 식으로 그렇게 할 뿐인 것처럼 보임. 그것도 먼저 온 교회에 인사를 한 후에 비로소 그들에게 인사를 하는 식으로 말이다!(빌 1:1)
☞ 한마디로 장로에 대한 바울의 전적인 관심 부족은 그가 특정한 사람들이 교회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공식적으로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받아들이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 같음.
7) 베드로의 서신도 바울과 거의 비슷함.
- 바울과 마찬가지로 베드로도 교회 지도자 보다는 교회 앞으로 편지를 씀.
- 장로들은 최소한으로만, 그것도 이방인들의 사고방식을 받아들이지 말라고 경고하는 맥락에서만 언급
- 장로들이 양무리 위에서 그들을 주관하는게 아니라, 그들 ‘가운데’ 있다는 점을 특히 강조!
“너희 가운데 있는 장로들에게 권면하노니 나 역시 장로요 그리스도의 고난의 증인이요 또한 앞으로 나타날 영광에 참여할 자니라. 너희 가운데 있는 하나님의 양 떼를 먹이고 감독하되 억지로 하지 말고 자진해서 하며 더러운 이익을 위해 하지 말고 오직 준비된 마음으로 하며 하나님의 상속 백성 위에 군림하지 말고 오직 양 떼에게 본이 되라.”(벧전 5:1~3)
- 이처럼 장로들은 양 무리의 ‘위’가 아니라 그 ‘가운데’에 있다는 점을 유념 필요!
8) 야고보와 요한과 유다 역시 같은 어조로 편지를 쓰고 있음. 그들 모두 역시 지도자가 아니라 교회 앞으로 편지를 쓰고 있음.
☞ 그렇다면 아주 분명해 보이는 사실은 신약성경이 직책으로서의 성직 개념을 한결같이 거부했고, 장로의 역할 역시 아주 경시한 것처럼 보인다.
'━━ 지성을 위한 ━━ >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아더 장군의 리더십 체크리스트 (0) | 2018.02.07 |
---|---|
신약 성경에서 말하는 교회 리더십 (0) | 2018.02.06 |
신약 성경에서 말하는 교회 리더십 (0) | 2018.02.03 |
신약 성경에서 말하는 교회 리더십 (0) | 2018.02.02 |
신약 성경에서 말하는 교회 리더십 (0) | 2018.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