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성을 위한 ━━/젊은이에게

인의 예지 (仁義禮智)게시판을 열면서.....

Joyfule 2016. 8. 30. 13:31

인의예지 (仁義禮智)게시판을 열면서..... 인의예지(仁義禮智)란 사람으로서 갖추어야 할 네 가지 마음가짐, 즉 어질고, 의롭고, 예의 바르고, 지혜로움을 말합니다. 지각이 없어 사리분별을 잘못하고, 옳고 그름의 판단력도 없는 요즘 세태에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인의예지(仁義禮智) 게시판을 개설했습니다 게시하는 자료는 여러곳에서 모은 것입니다. 인의예지 (仁義禮智) - 효의 본질(上) 효가 살면 나라가 산다. 효를 하면 모두가 행복해진다. 즉 인생 축복의 길, 인생 행복의 조건은 곧 부모님께 대한 효성이라는 것이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지니고 있는 본성적인 도덕 법칙인 것이다 이 법칙에 순응하는 것이 곧 인간의 근본된 도리요 순리인 것이다 창조주께서 세상을 창조하시고 남녀를 만드신 후 인류에게 축복하신 첫 내용은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창1:28)는 말씀 이다 즉 인류의 가적이 번성해야 인류의 모든 문화와 역사도 번영할 수 있는 축복 원리를 제시하신 것이다. 가정이 번성하려면 부부간이나 부자간에 화목해야 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어버이가 자녀를 사랑하듯 자녀들도 어버이를 공경해야만 그 가정은 화목하며 번성할 수 있으며 창조주께서 약속하신 모든 축복의 언약을 얻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불효는 한 개인, 한 가정의 도덕적 문제의 차원을 넘어 창조주의 창조 원리와 그 축복을 거스르는 범죄임을 인식해야 한다. ‘효’와 ‘가족제도’는 대한민국 5천 년 역사를 이어온 힘이다. 효 정신은 우리민족의 정체성을 발현해온 원동력이며, 숭고한 정신적 자산이다. 효는 가장 한국적이며, 인류의 통교(通敎)적 가치이며, 통시(通時)적 문화요, 통념(通念)적 정신이다. 효는 인간의 근본이요 가정화목과 인생행복의 에너지이다. 역사학자 아놀드 토인비 박사는 “한국에서 장차 인류문명에 크게 기여할 것이 있다면, 그것은 부모를 공경하는 효사상일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1. 효는 인간의 본성이다[인간의 도리]. 유교의 삼강오륜에도 “부위자강”, 또는 “부자유친” 이라 하여 가정에서의 효를 모든 사회 윤리의 기초와 으뜸으로 가르쳐 왔다. 그래서 옛 사람들은 “효는 모든 행실의 근본” 이라고 여겼다. 유태인 선민의 공동체 질서 유지의 방법으로 각 사람은 필히 그 부모에게 순종해야 함을 명령하신 것이다. 효는 필연성, 보편성, 자발성이 있으니 생명철학, 성명(性命)철학, 실천 철학이다. 교육(教育)의 근간이 효이다. 교육의 教자를 이해하자(教=孝+攵(칠복). 부모와 자녀관계 윤리인 효는 인간관계의 출발이요, 인성교육의 핵심은 효이다. 孝란 옛날 天子時代의 선왕들이 이 세상을 다스림은 물론 모든 백성들을 교화하던 가장 극진한 德이요 또한 밝은 道인 것이다. 몸은 부모의 분신이니 평생을 소중하게 관리해야 한다 효[孝효도효]를 나라에 적응하면 충 [忠 충성충]이되고 친구에게 이어지면 신 [信 믿을신]이 될 것이니 행실을 갖춘 사람은 위대한 업적을 남기게 될것이다 2. 하나님의 축복이 약속된 첫 계명이다(성경). 십계명중 사람의 첫계명 부모공경 효로 이어진다 출애굽기20:12 네 부모를 공경하라 그리하면 너의 하나님 여호와가 네게 준 땅에서 네 생명이 길리라 효의 본질은 사랑(愛)ㆍ공경(敬)ㆍ섬김(事)이며, 인류 행복의 천리(天理)요, 인간 백행의 근본(孝百行之本)이다. 사람의 모든 행위 중에서 효보다 더 큰 것은 없다(공자). 3. 효는 고등 종교와 성현들의 중심사상인 사랑과 자비와 인(仁)의 실천이다. 따라서 효는 부모를 사랑하고 공경하기 시작하여 부모의 생명, 자기의 생명, 형제의 생 명, 친족의 생명, 이웃의 생명, 인류의 생명, 만물의 생명을 사랑한다. 孝의 五大 위력(威力) ① 윗사람을 공경한다. ② 국가에 충성한다. ③ 성실한 삶을 이룬다. ④ 친우와 신의를 지킨다. ⑤ 모든 일과에 실천적 용단이 따른다. 이상과 같이 지키지 아니하면 본인은 물론 부모와 그 자손들에게까지 재난이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