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왕기(2): 솔로몬 이야기(1)(1-8장)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5과)11.
6-8. 솔로몬의 지혜(29-34)
이제 열왕기 기자는 하나님께서 기도의 응답으로 솔로모에게 주신 지혜가 어떠했는지를설명하고 있다. '지혜'('호크마')는 실제적(practical)인 것으로서 옳고 그름을 잘 분별하고,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이다(Keil). 원래 '지혜로운 사람'이라 할때는 '솜씨있는 사람'을 의미하는 말로서, 장인 뿐 아니라 시, 음악 등 모든 문화의 분야에서 재능과 총명을 발휘하는 인물을 뜻한다(Dentan).
'지혜로운 사람'은 인생의 전반적인 문제에 대해서 분별력과 통찰력을 지닌 사람이다(Patterson). 또한 '지혜'는 온전한 영적 상태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가장 실제적인 능력은 자신과 하나님간의 온전한 영적 상태에서 나온다는 사상이 여기에 담겨 있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지혜는 하나님께로부터 주어진 선물이라는 생각에서 나온 것이다(시 104:24; 잠 3:19; 사 31:2; 렘 10:12; 단 2:20).
"여호와를 경외함이 곧 '지혜'(호크마)의 근본이라"(시 111:10), "주를 경외함이 곧 '지혜(호크마)요"(욥 28:28) 등의 성구는 이러한 사상의 대표적인 예라고 볼수 있다. '총명'('테부나')은 예리한 판단력으로서 어렵고 복잡한 문제를 정확히 해결하는 능력을 말한다(Keil). 이것 역시 '지혜'와 마찬가지로 매우 실제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하나님은 솔로몬에게 지혜와 총명을 주셨으며, 또한 넓은 마음도 주셨다. '넓은 마음'('로하브 레브')은 '다방면에 걸친 해박한 지식'을 뜻한다. 원문의 뜻은 '큰 넓이를 가진 마음'이다. 특히 여기서 '마음'은 '두뇌','지식'의 뜻에 해당한다
(Hammond). 그리고 '넓이'는 다양한 분야의 광범위한 지식을 수용할 수 있는 두뇌의 용량을 말한다(Keil). '바닷가의 모래'라는 표현은 측량할 수 없을 만큼 많음과 풍부함을 표현하는 관용어이다. 열왕기 기자는 솔로몬의 지혜가 동양의 모든 사람과 애굽의 모든 지혜보다 뛰어났다고 기록하고 있다. '동양 모든 사람'은 팔레스타인 동쪽과 동남쪽에 분포된 넓은 의미의 아라비아인들을 가리킨다(Keil). 따라서 여기의 '동양'은 현재 사용되는 의미와는 달리 당시 이스라엘 편에서 본 '동양'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하란, 메소보다미아인들을 포함하며, 동시에 스바, 아두매, 데마인들을 포함한다.
그런데 고대로부터 이곳은 문명과 문호의 발상지로 알려져 왔으며, 또한 신화적 내용을 담고 있는 많은 지혜 문서 및 다양한 격언적 지혜로 유명하였다. 피라밋에서 볼 수 있듯이 고대 애굽은 기하학, 천문학, 의학 등 오늘날의 자연 과학과 관계된 실제적으로 분야가 매우 발달하였다. 따라서 당시 이러한 '애굽의 지혜'는 속담이 될 정도로 유명했다. 이 말은 솔로몬의 문화적 업적이 인문 과학과 자연 과학의 선진국이라 할 만한 나라들을 능가할 정도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솔로몬의 지혜는 예스라 사람 에단과 마홀의 아들 헤만과 갈골과 다르다보다 나아서 사방 모든 나라에 그 소문이 퍼졌다고 기록하고 있다. '에단'과 '헤만'은 시편의 저자로 보인다(시 88:1;89:1). 그리고 '갈골'과 '다르다'(다라)는 '에단'과 '헤만'과 더불어 (대상 2:6)의 족보, 곧 세라의 아들들로 등장하는 것외에는 더이상 알려진 바가 없다. 이 네 인물들은 당시 사람들에게 문화, 예술에 있어 가장 뛰어난 사람으로 인정을 받았음이 틀림없다. 그런데 솔로몬은 이들보다도 뛰어났다고 말함으로써 솔로몬의 지혜가 모든 분야에 있어서 역사상 최고의 수준에 도달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솔로몬은 잠언을 3000개를 말했으며, 1005개의 노래를 지었다.
솔로몬의 잠언 삼천은 후세에 다 전해지지 않았으며, 성경에 삼분의 일 정도만이 남이있다(잠 1:1). 솔로몬이 지은 노래 역시 후대에 모두 전해지지 않았으며, 남은 것은 성경에 기록된 아가서와 시편 72, 127편정도에 불과하다. 성경에 기록된 솔로몬의 '잠언'(마샬)과 '노래'(,쉬르)는 솔로몬의 신적인 지혜가 반영된 것들로, 성령의 감동을 받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3:12). 그리고 그는 동식물에 대해서도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솔로몬 시대에는 동식물에 대해서도 많은 학문적 연구와 조사가 이루어졌다. 보통 평화와 번영의 시기에는 이러한 학술 활동이 활발한 법이다.
레바논의 산들은 백향목의 주요 산지로서 다윗과 솔로몬이 성전 건축용 백향목을 수입한 곳도 여기였다(삼하 5:11; 7:2; 왕상 5:7). 백향목은 건축물의 기둥으로 쓰일 만큼 크고 튼튼했기 때문에 자주 영광, 힘, 호화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우슬초는 관목류에 속하는 키가 작고 털이 많은 식물이다. 솔로몬은 가장 큰 나무에서 가장 하챦은 관목에 이르기까지 모든 식물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있었다. 짐승과 새와 기어 다니는 것과 물고기는 동물을 그가 사는 곳에 따라 나눈 것으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솔로몬은 식물학 뿐 아니라, 동물학에 있어서도 폭넓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논한다"는 말('다바르')의 기본 뜻은 '말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 말은 말하는 것 뿐 아니라, 관찰하고, 연구하며, 저술하는 활동까지 포괄적으로 내포하는 단어이다(Keil). 이로 인해 솔로몬의 소문이 각 나라에 퍼지게 되었으며, 각 나라의 왕들이 그 지혜를 듣기 위해서 솔로몬을 찾아왔다. 솔로몬의 탁월한 지혜의 명성은 열방 중에 널리 퍼졌고, 결국 많은 나라의 왕들로 하여금 예루살렘을 방문하게 만들었다. 이것은 곧 이스라엘이 문화 예술 등 제반분야에서 선진국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변의 국가들은 솔로몬 왕국과의 교류를 적극원했을 것이고, 왕들은 직접 혹은 대사를 통해 접촉을 시도하고자 했을 것이다(5:1;10:1). 그리고 솔로몬은 개방 정책을 펴서 많은 방문객들을 맞아들였던 것이다(Wycliffe). 스바 여왕의 방문은 여기에 대한 대표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10:1-13).
'━━ 보관 자료 ━━ > 인터넷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5과)13. (0) | 2009.03.17 |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5과)12. (0) | 2009.03.16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5과)10 (0) | 2009.03.14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5과)9 (0) | 2009.03.13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5과)8. (0) | 2009.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