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왕기(3): 솔로몬 이야기(2)(9-11장)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6과)5
12. 솔로몬의 부와 지혜(2)(10:14-29)
솔로몬의 통치의 이중적인 모습은 그의 부와 지혜에 대한 묘사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솔로몬은 (왕상 4장)에서 여호와께로부터 받은 지혜를 사용하여 백성들의 필요를 체워주고, 그들의 삶의 질을 높여주었다. 그러나 (왕상 10:14-29)에서는 그 지혜가 솔로몬 자신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곳에는 솔로몬이 신명기에 기록된 규정(신 17:16-17)을 어기면서 자신을 위해서 수많은 금과 은과 말과 여인들을 소유하는 모습을 기록하고 있다.
솔로몬이 매년 거두는 세입금은 금 666 달란트였다(14). 금 666달란트가 현대의 화폐 가치로 어느 정도인지는 확실치 않다. 당시 금 1달란트의 무게는 34.3kg정도엿으며, 이는 은 45,000세겔에 해당하는 금액이었다. 당시 은 30세겔은 노예 장정 한 사람의 값이었으므로(출 21:32), 금 1달란트는 약 1,500명의 노예값을 지불할 수 있는 큰 금액이었다.
이 액수는 고대 이스라엘인들에게는 엄청난 것으로 비추어졌음을 분명하다. 또한 솔로몬은 이 세금 외에도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장사하는 소규모 상인들(상고)과, 대규모로 무역을 하는 객상들과, 동맹을 맺은 주변의 아라비아 왕들, 그리고 국내의 지방장관(나라의 방백)들에게도 세금을 받았다(15).
솔로몬은 금을 쳐서 얇게 편 후에 그것으로 방패 하나에 금 600세겔이 들어가는 큰 방패 200개와(16), 방패 하나에 금 3마네가 들어가는 작은 방패 300개를 만들었다. 이러한 방패는 나무로 만든 방패 위에 얇게 편 금을 입혀서 만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서 큰 바애는 전신을 가릴 수 있는 진지 방어용 방패를 말하며, 작은 방패는 개인이 사용하는 휴대용 방패를 의미한다. 그리고 솔로몬은 그 방패들을 레바논 나무로 만든 궁전에 두었다(17).
이러한 방패들은 전투용이 아니라 의식용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1세겔을 11.424g으로 보면(Sellers), 큰 방패 하나당 약 6.9kg의 금이 들었다. 그리고 1마네를 약 571.2g으로 계산하면 작은 방패는 한 개당 약 1.7kg의 금이 사용되었다. 이 금방패들은 아마도 레바논 나무 궁의 벽에 장식용으로 걸었을 것이다. 한편, 여기 보관된 금방패들은 르호보암 때에 애굽 왕 시삭에게 탈취당하고 말았다(14:26).
솔로몬은 또 상아로 큰 보좌를 만들고, 그 위에 정금을 입혔으며, 그 보좌에 6층계가 있고, 보자 뒤에는 둥근 머리가 있었다. 그리고 앉는 자리 양편에는 팔걸이가 있었으며, 팔걸이 곁에는 사자가 하나씩 있었다. 그리고 여섯 층계의 좌우편에는 12마리의 사자가 놓여 있었다(18-20). 솔로몬의 보좌는 팔걸이와 그 곁의 사자 장식으로 미루어 애굽식에 가까왔던 것 같다. 바사(페르시아)왕의 보좌에는 이러한 팔걸이가 없었기 때문이다.
'사자'는 백수의 왕으로서(잠 30:30,31), 성경에서 흔히 통치와 심판을 상징한다(암 3:8; 계 10:3). 여섯 층계 좌우편에 있는 12사자상들은 이스라엘의 열 두 지파를 상징한 것으로 보인다(Keil). 고대 근동 지역의 유물들을 고찰하건대, 비록 보좌가 높고, 정교하게 만들어 졌으며, 팔걸이에는 각종 동물 형상들이 조각되어 있는 사실들이 입증되었으나(Layard). 그 규모나 형태 및 화려함 등에 있어서는 당시대 솔로몬의 보좌와 같은 것은 없었다. 솔로몬의 보좌보다 더 화려하고 웅장한 보좌는 먼 후대에 가서야 비로소 나타난다(Keil & Delitzsch, p. 164).
솔로몬이 마시는 그릇은 모두 금그릇이었으며, 레바논 나무로 만든 궁에서 사용하는 그릇도 모두 금그릇이었다. 솔로몬 시대에는 은을 귀중하게 여기지 않았기 때문에 은그릇이 사용되지 않았다(21). 이러한 표현은 솔로몬 왕국의 부가 극에 달했음을 말해주고 있다. 또한 솔로몬은 바다에 다시스 배를 두어 히람의 배와 함께 있게 했으며, 3년에 한 번씩 그배들로 금과 은과 상아와 원숭이와 공작을 실어왔다(22). 여기에서 열왕기 기자는 솔로몬 왕의 재산과 지혜가 천하의 열왕보다 컸다고 기록하고 있다(23).
천하가 다 하나님께서 솔로몬 왕에게 주신 지혜를 들으며 그 얼굴을 보려고 각기 예물을 가지고 예루살렘으로 왔다. 그 방문객들이 가져오는 예물은 금과 은 그릇, 의복과 갑옷과 향품과 말과 노새였다(24-25). 3장에서부터 줄 곧 찬양되던 솔로몬의 지혜는 이로써 그 이야기를 끝을 맺고 있다. 또한 솔로몬은 병거와 마병을 모았으며, 이로 인해 그에게는 병거가 1400대가 있었고, 마병이 14000명이 있었다. 그는 이 마병들을 병거성과 예루살렘에 나누어 배치하였다(26).
솔로몬은 예루살렘에서 은을 돌처럼 많게 만들어으며, 백향목을 평지에 나는 뽕나무처럼 많게 만들었다(27). 솔로몬은 말들을 애굽에서 내어왔는데, 이는 왕의 장사꾼들이 떼로 값을 매겨서 산 것이었다(28). 솔로몬이 애굽에서 내오 온 병거는 한 대에 은 600세겔이었다. 솔로몬은 자신 뿐 아니라, 헷 족속의 왕들과 아람 왕들을 위해서도 말과 병거를 내어 왔다(28-29).
솔로몬이 병거와 마병을 모은 사실은, 경제적 번성에 따르는 군사적 부강으로 간단히 넘어가기 쉽다. 그러나 이것은 그렇게 간단치만은 않다. 왜냐하면 1) 이스라엘의 지형은 산악 지대가 많아 병거가 많이 필요없는데, 이러한 사실은 다윗이 하닷에셀에게서 빼앗은 병거 일천 대 중 백 대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부셔버린 사실에서도 입증된다(대상 18:4). 2) 더구나 왕이 말을 모으는 일은 신명기 규례상 명백히 금지된 일이라는 점(신 17:16) 등의 문제에 대해 솔로몬의 병거와 마병은
(1) 단순히 전투용 뿐이아닌 상업적 목적(매매 혹은 상선단의 보호)도 지닌 것이라는 해석도 있으나(Dentan),
(2)무엇보다도 왕국의 위세를 과시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Hammond, Wevers).
한편 신명기 규례가 '왕된 자는 말을 많이 두지말 것'(신 17:16)을 명한 이유는 (1) 무엇보다 병마(兵馬)에 의존하기 보다는 오직 하나님만을 의지하도록 하기 위함이었으며(시 20:7; 33:17; 잠 21:31). (2) 또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다시 애굽으로 돌이킬까봐 염려했기 때문이다. 즉 말의 주산지인 애굽과의 잦은 외교나 거래 관계는 결국 애굽의 우상 문화를 끌어들이게 되고, 나아가 정치적 종속의 관계를 띨 우려마저 있었기 때문이다
(Craigie). 그리고 이렇게 되면, 애굽으로부터 해방시켜 주신 하나님의 출애굽 은총이 업신여김을 당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솔로몬은이 율법의 금지 조항이 염려한 점을 망각하고, 단순히 예비용으로 보기에는 너무 많은 말을 애굽으로부터 수입하였다(28,29절). 이로써 솔로몬 왕에게 드러워지는 실패와 타락의 전조(前兆)를 느낄 수 있다. 은 1세겔(Shekel)은 대략 11.4Kg이었으므로, 은600세겔은 약 7kg의 중량이다.
'마네'(Maneh)로는 12마네, '달란트'(Talent)로는 0.2달란트이다(16). 헷사람은 히타이트족을 가리킨다(창 10:15; 23:3). 히타이트족은 B.C. 2천년대 초 경에는 거대한 제국을 건설했던 바 있지만, 솔로몬 당시에는 작은 왕국들로 나뉘어져 있었다(Gelb). 그리고 이 왕국들은 팔레스틴 북쪽 변경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솔로몬 왕국은 남쪽 애굽과 북쪽 헷 왕국들 사이에서 병거와 말 매매의 중간 상인 구실을 한 것이다.
이러한 수입과 매매를 통해 얻은 수익도 적지 않았을 것이다. 아람 민족은 유브라데 강주변, 즉 이스라엘의 북쪽 및 북동쪽 경계에 여러 개의 작은 국가들로 나뉘어져 있었다(Bowman). 본절의 아람 왕들은 바로 이 작은 국가들의 왕들을 가리킨다. 솔로몬은 이들에게도 애굽의 병거와 말을 수입해 되팔았다.
그런데 아람인들은 이전부터 자주 이스라엘과 적대 관계에 서왔던 민족이었다(삼하 8:5,6; 10:8-18). 그리고 이러한 적대 관계는 솔로몬 통치 이후 분열 왕국 대에 가서도 내내 계속된다(20:20; 22:35; 왕하 7:15; 8:28; 대하 24:24). 그러므로 솔로몬은 세속적 무역 정책의 결과 결국 이스라엘의 대적에게 무기를 판 셈이 되고 말았다(Wordsworth).
'━━ 보관 자료 ━━ > 인터넷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6과)7 (0) | 2009.03.28 |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6과)6 (0) | 2009.03.27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6과)4 (0) | 2009.03.25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6과)3 (0) | 2009.03.24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6과)2 (0) | 2009.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