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관 자료 ━━/인터넷성경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6과)3

Joyfule 2009. 3. 24. 00:22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6과)3

열왕기(3): 솔로몬 이야기(2)(9-11장)

 

 

 10-10. 솔로몬의 무역 활동(26-28) <참고 지도: 솔로몬의 무역>


  또한 솔로몬은 이러한 건축물 뿐 아니라, 많은 배들도 건축했다. 솔로몬이 배를 건축한 곳은 에돔 땅 홍해 물가 엘롯 근처에 있는 에시온게벨이었다. '엘롯' 또는 '엘랏'(신 2:8)은 '에시온게벧'과 더불어 홍해의 아카바 만 최북단에 위치한 2개의 주요 항구 도시였다. 이 중에서 '에시온게벧'이 보다 윗편에 위치해 있었다. 이 두 항구도시는 전략적으로, 그리고 상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었다.

 

에시온게벨은 홍해의 한 지류인 아카바 만의 상부에 있는 항구로서, 이 지역은 아카바 만의 상부에 있었다. 이 지역은 일찍이 이스라엘이 모압 광야를 지날 때 진을 친 적이  있었다(민 33;35-36; 신 2;8). 그런데 솔로몬은 이곳에 항구를 건설하여 오빌과의 해상무역 기지로 삼았다. 고고학은 이 지역에서 솔로몬 시대의 건축 공법으로 이루어진 건물과 성벽을 발견하였다(Cohen). 선박 제조에 있어 솔로몬은 당시 항해와 선박 건조 기술이 크게 발달한 베니게인들의 도움을 받았음이 분명하다.

 

좁은 해안 지대라는 국토의 지형적 조건이 베니게인들로 하여금 일찍부터 바다에 눈을 돌리게끔 했기 때문에, 솔로몬 당시 베니게인들의 항해와 선박 건조 기술은 매우 뛰어났다(Winer, 5:1,9). 한편 '베니게'는 당시 히람 왕의 통치하에 있었던 두로와 시돈 지역을 가리킨다. 히람은 자기이 백성들 중에서 바다에 익숙한 사공들을 솔로몬의 종들과 함께 이 곳으로 보내었으며, 그들은 그 곳에서 배를 타고 오빌에 가서 금 420달란트를 가져다가 솔로몬에게 주었다(26-28).

 

 (대하 8:18)을 보면 히람이 솔로몬에게 보낸 것은 사공 뿐만 아니라 배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 배들은 비록 솔로몬의 소유였지만, 그것을 제작한 것은 히람의 백성인 베니게인들의 기술로 이루어졌을 것이다. 솔로몬의 무역 선단은 일찍부터 해상 무역에 익숙한 베니게인들의 절대적인 도움을 입었다. 오빌이 어디인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이견이 많다. 이 곳은 '인도 해안 지역'이었을 가능성이 많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무 역 품목들(금,은,상아,잔나비,공작 등)이 고대 인도 지역의 주요한 무역품들이다.

2) 긴 항해 길이 장거리 항해였음을 암시하고 있다(10:22).

 

인도의 봄베이 근처에 '수파라'란 항구가 있는데, 바로 이곳이 '오빌'인 것같다고 학자들은 말한다(Jerom). 그러나 올브라이트는 오빌을 아프리카 동북부 해안 지역으로 보았고, 패터슨은 이 곳을 아라비아 남서부 해안 지역으로 보았다. 어쨌든 이 지역은 고대 세계에 금의 산지로 유명했다(대상 29:4).

 

따라서 이스라엘은 오빌에서 많은 금을 수입하였는데, 정금이라고 하면 곧 오빌을 연상할 정도였다(욥 22:24; 28:16; 시 45:9). 솔로몬은 오빌에서 금 이외에도 백단목과 각종, 보석 등을 운반해 왔다(10:11). (대하 8:18)에는 그들이 가져온 금이 사백 오십 달란트'로 되어 있다. 이러한 차이는 보통 히브리 알파벱의 숫자 표기상 20과 50의 혼동에서 비롯된 것으로 설명된다(Bahr, Keil).

 

당시 금 한 달란트의 무게는 대략 34.3kg이었고, 그 가치는 장정 1,500명의 노예값에 해당되었다. 솔로몬의 해상 무역은 그가 가진 부의 주요 원천 중 하나였다. 비록 본절은 해상 무역에 국한하여 소개했지만, 활발한 교역 활동은 솔로몬 시대의 특징 중에 하나였다(10:2,11,22,28; 대하 2:10; 9:14). 이러한 활발한 교역 활동에는 평화 시대라는 요인 외에도 애굽,수리아,아라비아 등으로 통하는 주요 교역로에 자리잡고 있는 이스라엘의 지정학적 이점이 크게 작용했다.

한편, 이렇듯 활발한 통상 교역은 이스라엘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 왔다. 즉 이제까지 지파 중심으로 농경과 목축에 주력하던 이스라엘에 상공업의 물결이 밀려들어옴으로써 도시 문화가 발달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전통적인 지파중심의 생활에서 탈피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대외적인 국가조직의 재편을 가져왔다.

 

  이러한 솔로몬의 통치 아래에서 가나안 사람들과 이스라엘 사람들은 노예로 전락해 갔다. 전에 사무엘은 왕정이 이루어졌을 때에 이러한 일이 일어날 것에 대해 미리 예고한 적이 있었다. 솔로몬은 처음에는 성전 건축을 위해 역군을 일으켰지만, 후에는 병거와 기병을 위한 성, 바로의 딸을 위한 궁전, 그리고 배와 선단을 만드는일에 사용되었다. 국고성은 군사적 목적으로, 바로의 딸을 위한 별궁은 명예를 위해서, 그리고 선단은 부를 추구하기 위해서 지어졌다(왕상 9:28). 이로 인해 "권력과 명예, 그리고 부"가 솔로몬 정부의 특징이 되게 되었 다. 솔로몬은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더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져 갔으며, 독재자가 되어 점점 더 백성들을 착취하고 그들에게 무거움 짐을 지우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