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역사와인물

한국민족기독교백년사 - 제2편 한국교회의 형성과 부흥 2.

Joyfule 2006. 12. 22. 00:55


한국민족기독교백년사 - 제2편 한국교회의 형성과 부흥 2.   
제2장 성령강립과 교회의 일대부흥
1.민족적 자각에 따른 신자의 증가
우리 땅에서 치른 청일전쟁과 일본의 입김에 의하여 진행된 갑오경장은 모두가 다 한국 민족을 향한 심각한 반성과 커다란 각성을 일으키기에 충분하였다. 이로 인하여 국민들은 정부의 부패와 무능력을 뼈저리게 느꼈으며 타국 군대들이 우리 국토에서 싸우는데도 말 한마디 못하는 한심한 정세에 통탄하여 마지 않았다. 갑오경장은 청과의 일체의 관계를 단절하고 내정개혁을 선포하고 독립을 외쳤으나, 이것도 일본 제국주의가 적극적으로 한국에 침입하는 계기가 되었음에 불과하였다. 그런고로 이를 깨달은 뜻있는 인사들은 치를 떨며 일어설 수 밖에 없었다. 
1895년 서울의 어느 선교사의 보고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실정은 변해가고 있다. 일반 백성들 사이에 각성의 기미가 점차 드러나고 있다.'
라고 하였고, 그래함(Graham Lee) 선교사는 자신의 1896년도 연례보고서에서
'전쟁은 한국인의 마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저들은 삶의 참길을 찾고자 애쓰고 있다.' 
라고 말하여 한국민의 애타는 심정을 피력하였다. 이러한 때에 기독교 복음은 새로운 희망을 한국 민족에게 던져 주었다. 사람들은 교회로 몰려들어 신자 수는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1895년에 530명이던 신자가 1896년에 3,276명으로, 1900년에는 7,690명으로 대폭적으로 증가하였다. 
1889년부터 1893년까지는 100명에서 150명 사이를 오르내렸다. 그때와 비교하면 너무나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그때는 그리스도에게로 들어오고 있으면서도 탐색적인 경향이었지만 이제는 그리스도 안에서의 참 생명이 있음을 자각했기 때문이었다. 
2. 애국 인사들의 기독교인 속출
개화 인사들 중에 조국과 민족의 운명을 근심하면서 혁신운동을 진행한 인물들이 여럿이 일어났다. 1894년 배재학당의 교사인 이승만이나 1892년 언더우드 신학반 수료한 홍정후나 미국에서 최고 학부를 마치고 1895년 귀국한 윤치호등이 바로 그러한 인물들이었다. 그들은 1896년 협성회를 조직하였고 다수의 신진인물들을 규합하였다. 
1896년 미국에서 귀국한 서재필은 독립신문을 창간하였다. 독립신문을 통하여 대중의 계몽에 성공한 서재필은 독립혐회를 구성하였다. 독립협회는 중국 사신이 오면 환영하던 모화관을 개수하여 독립관으로 만들었고 서재필,윤치호,홍정후 등은 주일마다 집회를 열어 백성들 사이에 자유 사상과 민주주의를 고취하였다. 또한 영은문을 헐고 독립문을 세워 국가 자주권의 회복을 역사 의식적으로 표방하며 나섰다. 
독립신문과 독립협회가 행한 부정 부패의 공격은 정부 당국자들에게 심한 불쾌감을 일으켜 정부는 드디어 1898년 12월에 독립협회 해산을 명령하였으며 이승만 등 17명을 체포하였다. 
선교사들은 감옥을 방문하여 애국 인사들에게 기독교 서적을 전달하면서 전도하였다. 이들은 새로운 설교를 듣고 새로운 책을 읽으면서 진리를 알게되어 드디어 1901년 3월에 12인이 함께 세례를 받았다. 이것이야말로 고관 인사 층에서 대량으로 기독교인이 된 시초이다. 
옥중에서 신자가 된 독립협회의 지도자들은 출옥한 이후에도 신앙생활을 계속하면서 한국의 사회와 종교 정치 등 각 방면에 많은 업적을 쌓았다. 특히 사회와 교회를 접근시키는데 세운 공은 뚜렷하였다. 
3. 한국 최초의 대부흥운동
나라의 문호가 개방되자 열강들이 물밀듯이 들어와 저마다 침략의 기회를 노리고 호시탐탐하였다. 1905년 노일전쟁이 끝나자 승리한 일본은 모든 열강의 힘을 물리치고 정치,군사,경제 모든 면에서 이 나라에 대한 우선권을 차지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백의 민족은 이러한 정세에 안타까이 가슴을 쳤지만 약소 국가의 설움만이 닥쳐올 뿐,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는 궁지에서 더욱 더 몰려가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 1907년 한국교회 최초의 대부흥운동이 일어나게 된 것이다. 
부흥운동의 불길은 190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원산에서 감리교 선교사 하아디(R.A.Hardie)목사가 기도하는 중의 새로운 영감을 받았다. 그는 이 체험을 동료 선교사들에게 간증한 것이 말할 수 없이 큰 은혜가 되었다. 소문이 퍼지자 평양에 있는 선교사들도 같은 모임을 가졌다. 여기에는 감리교나 장로회가 자리를 함께 하였으며 외국 선교사와 우리 나라 교인들도 한결같이 은혜를 사모하였다. 때마침 미국 뉴요크로부터 죤슨(Howard A. Johnson)목사가 달려와 인도와 영국에서 일어난 세계적 대부흥운동에 관하여 힘있게 전파하였다. 은혜를 갈망하여 간구하는 소리는 하늘에 닿아,1907년 정월에 접어들면서 그 절정에 도달하였다. 평양 장대현교회에서 모인 이 집회는 낮에는 성경 공부, 밤에는 전도강연 집회로 대성황을 이루었다. 죄를 고백하는 기도는 천지를 진동하였으며 찬송은 폭포소리 같았고, 한날 밤에 일어난 성령의 역사는 드디어 폭발하여 크나 큰 위세를 떨치고야 말았다. 
그날밤에 일어난 과정은,사람들은 다투어 일어나 자기의 죄를 고백하였다. 소리내어 울면서 마루에 엎드려 주먹으로 마룻강을 치면서 지은 죄를 통회하였다. 한 사람이 일어나 죄를 고백하면 온 회중이 소리를 내어 아멘을 연발하며 기도를 외치는데, 이처름 뜨거움이 또 있을 수가 없었다. 집회는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밤이 지나고 새벽 먼동이 틀때까지 계속되었다. 여기에서 일어난 부흥의 불길은 전국적으로 퍼져 나갔다. 이로 인하여 그 얼마나 많은 사람이 신자가 되었으며 또 얼마나 많은 교회가 설립되었는지 모른다. 
이후로 교인들은 성수 주일, 기독교 윤리의 엄수,성경공부,전도활동 등 그리고 주께 바치는 생활에 스스로 힘쓰게 되었으며 한국교회는 이 부흥운동에서 얻은 힘으로 그후 거듭 일어나는 일제 하에서 수난에 박해를 능히 견디며 참아 나가게 하였다. 특히 부흥사경회는 이 운동을 계기로 하여 한국교회 생활에 있어서 하나의 영속적인 연례적 행사처럼 되어지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