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속담집 - 스/시 5
신 신고 발바닥 긁기.
신을 신고 발바닥을 긁으면 무슨 필요가 있나 ? 노력을 해서도 효과 없다는 뜻.
- 비 : 목화 신고 발등 긁기.
신을 거꾸로 신고 나간다.
반가운 사람을 맞으러 정신없이 허둥지둥 뛰어나가는 것을 보고 하는 말.
신작로 놓으니까 문둥이 먼저 지나간다.
애써서 한 일을 아무 관계 없는 자가 그르쳐 보람이 없게 되었다는 말.
실 가는 데 바늘 간다.
둘이서 떨어지지 않고 반드시 같이 다닐 정도로 사이가 좋다는 말.
실과 망신은 모과가 시킨다.
똑똑하지 않은 사람은 자기와 같이 있는 다른 사람에게 언제나 페되는 일만 한다는 뜻.
- 비 :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킨다.
실낱 같은 목숨.
아주 약한 목숨.
실 얽힌 것은 풀어도 노 얽힌 것은 못 푼다.
작은 일은 해결하기 쉬워도 큰 일은 해결하기 어렵다는 말.
실 없는 장단에 호박국 끓여 먹는다.
볼것 없는 행동에 당치 않는 행동을 한다는 뜻.
실없는 말이 송사(訟事)건다.
생각없이 한 말이 큰 일을 만들게 되었다는 뜻.
무심히 한 말 때문에 큰 변이 생긴다.
실이 와야 바늘이 가지.
"바늘 간 데 실 간다." 와 같은 뜻임.
실한 과객 편에 중의 부친다.
믿을만한 친구에게 어떤 일을 부탁했을 때에 비유하는 말.
싫은 매는 맞아도 싫은 음식은 못 먹는다.
아무리 맛있는 음식이라도 배가 차면 더 먹을 수 없다는 말.
싫컷 울다 어느 마님 돌아가셧느냐고 묻는다.
이유도 모른체 일을 하다가 뒤늦게 엉뚱한 질문을 한다는 뜻.
심사가 꽁지벌레라.
꽁지벌레는 장독에 잘 기어들어가는 벌레이므로,
마음이 불량하여 남의 일을 훼방하는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
심사가 놀부라.
마음이 놀부처럼 나쁘고 욕심 많은 사람을 두고 하는 말.
심사가 좋아도 이웃집 불붙는 것 보고 좋아한다.
성격이 착한 것 같지만, 실상은 좋지 못하다는 뜻.
심술이 왕골 용골 떼라.
왕골 용골 떼는 옛날부터 심술이 많기로 유명하였기 때문에,
심술 많은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
심심하면 좌수 볼기 때리기.
부하로 있는 자나 죄없는 사람을 심심하면 때리는 일은 좋지 않다는 뜻.
(좌수...향소의 우두머리)
십 년 공부 나무아미타불.
여러 해 동안 애써 한 일이 실패했을 때 하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