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는 길 - 제8권]

Joyfule 2021. 6. 24. 09:57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는 길 - 제8권]

    둘이 한 몸이 될지니라 Two become one

 

제 8 과 부부 교제의 원리


9. 당신의 배우자의 긴급한 필요는 무엇이며(무엇이었으며), 그리고 당신은 그 필요를 어떻게 채우 주려고 합니까?(했습니까?)


현재나 과거를 뒤 돌아 보면서 부부간에 이야기 나누는 시간입니다.

부부간에 가장 문제가 되었던 점이 무엇이었습니까?
가장 문제가 되었던 점을 어떻게 교제를 통해서 하나로 이루어 나갈 수 있겠습니까?


부부 교제와 가족

결혼은 영구적입니다! 그러나 자녀를 기르는 일은 잠시일 뿐입니다. 자기 배우자와 올바른 관계에 있지 않는 사람은 자녀 양육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많이 미치게 될 것입니다.


10. 자녀들이 생겼을 때 부부가 서로에 대한 헌신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1) 헌신에 대한 우선 순위는 둘이 이야기 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야 합니다. 사소한 일이 하나한 쌓이게 되면은 언젠가는 터지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항상 아이들은 아닌 단둘이  이야기 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효합니다.


(2) 감정적인 면에서도 아이들이 있기전에 서로 일치가 되도록 노력해야 됩니다. 아이들 앞에서 서로 감정을 가지고 다투는 모습을 보이면 안됩니다. 감정적인 면에서 둘이 하나가 되려고 하는 시간을 가지고 교제를 해야 됩니다. 해결할 문제가 있으면 단 둘이 풀려고 하고 기도로 풀어 나가려는 모습으로 변해야 합니다.


(3) 물질 면에서도 아이들에게 보다 남편에게 신경을 더 써주어야 합니다. 결혼 초기에는 남편의 옷과 넥타이에 관심을 가지고 신경을 써주는데 아이를 낳으면 남편들은 뒷전이고 아이에게만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물질을 사용하는데에서도 아이에게만 투자를 합니다. 어린아이에게 비싼 옷, 좋은 옷 사주는데 남편에게는 넥타이 몇 년가도 그대로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것이 우선 순위가 바뀌고 있는 것입니다. 아이들에게만 관심을 가지고 남편에게는 관심도 없고 신경도 써주지 않는 것은 않됩니다. 물질적인 투자에서도 남편에게 여전히 투자 할 수 있어야합니다. 물론 남편도 아내에 대해서 동일 합니다. 아이들에게 광잉투자 안하는게 가장 지혜로운 것입니다. 성장하면 자기들이 다 취하게 되어있습니다. 그러므로 부모 할 도리만 믿음으로 잘하면 됩니다. 아이를 의지하고 기대를 걸고 과잉투자하는 것은 오히려 가정의 전체 분위기를 흐트리기 쉽습니다.


11. 부모는 왜 자녀에게 “연합전선”을 펴야 합니까?


(1) 올바로 자라지못하고 생각에 혼란을 가져 오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아이가 잘못했을 때 어머니가 혼내주고 있습니다. 어머니가 아이를 혼내주고 책망하고있는데 아버지가 밖에서 들어오면서 아이 가 잘했다는 식으로 아내에게 지나치다는 식으로하면 부부가 다투게 됩니다. 그러면 아이 입장에서는 이것은 내가 잘못해서 꾸지람 받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의 견해 차이와 주관적인 사고 때문에 내가 희생 당하고 있구나라고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연합전선이 중요합니다. 어머니가 아이를 잘못대하면서 책망을 해도 일단 남편은 어머니하는 그대로 놔두어야 하고 같은 태도를 취해야 합니다. 아이 앞에서 같은 태도를 취해 하고 그 다음에 이야기할 소제가 있으면 뒤에 아내에게 ‘당신 태도가 잘못되었어, 너무 지나쳤어’라고 조용히 대화로서 풀어가야 합니다. 아이 앞에서는 최소한 연합전선을 해야 아이가 바로 자랄 수 있습니다.


(2) 부모들 중에 어느 한쪽만 좋아하는 경향으로 흐리기 쉽습니다. 예를 들면, 어린아이때 남자아이는 어머니를 좋아하고 여자아이는 아버지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럴 때 부모가 어느 한쪽만 좋아하게 되면은 ‘어머니는 나를 미워하고 아버지만 나를 사랑하는 구나’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아이는 어머니는 미워하고 아버지만 사랑하게 되어 집니다. 비툴어진 편애는 아이가 정서적으로 잘못되기 쉽습니다. 그러므로 연합전선을 이루어야 합니다.


(3) 신뢰도가 없어집니다. 부모에 대해서 신뢰도가 없어지게 됩니다.  부모가 연합전선을 못하더라도 최소한 어떤 면에서 잘못되었다는 것을  지적해 주는 정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같이 책망은 못해도 너는 이런 면에서는 잘못했다 그렇게 설명이라도 해주는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정반대의 태도를 아이 앞에 보이면 나중에는 어머니 말도 듣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러므로 신뢰도가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앞1번 문장을 참조하십시오).


12. 자녀에게는 과잉투자를 하면서 결혼 생활에는 별로 투자를 하지 않는 부모에게는 어떤 위험이 따릅니까?


부부간에 돈을 쓰고 않고 아이들에게만 돈을 투자하면 좋지 않습니다. 이에 따른 위험은 첫째, 부부가 서로 외로워집니다. 소외감을 가지기 쉽고 외로움 타게 됩니다. 남편이 있고 아내가 있는데 외롭다는 것은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둘째, 아이에게 투자를 많이 해놓으면 아이가 자란뒤에 남편보다 자식에게 더 기대를 가지게 됩니다. 아내가 남편을 의지하고 살아야 되는데 자식을 의지하는 경향이 있게 되어집니다. 셋째, 부부 생활의 성숙이 없어집니다. 시간적으로 경제적으로 아이에게만 투자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것으로 부부 생활에 침해를 받게 되어지는 것입니다. 부부 생활에 침해를 받는 것은 아이쪽에만 관심만 있고 실질적으로 부부의 대화의 시간이 없어 침해 받는 것이며 부부 생활에 성숙이 없는 것입니다.


13. 이것이 자녀에게는 어떤 영향이 미칩니까?


첫째, 독립심이 없어지고 의타심이 생깁니다. 너무 광이투자를 하면은 자녀가 독립심이 없어집니다. 그리고 부모만 의지하고 기댈려고만 하며  스스로 계획을 세우거나 스스로 실행하는 모습은 소침하게 됩니다. 자기 역할도 감당하지 못하는 연약한 사람이 되어집니다.


둘째, 자기 중심의 사람으로 되어 집니다. 자기 밖에 모르는 아이가 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부모가 자기만 챙겨주므로 그렇습니다. 이러한 아이는 자기도 모르게 이기주의적인 사람이 되어가는 것입니다. 자기에게 해주기만을 바라게 됩니다. 이런 사람이 결혼하면 아내와 행복하게 살 수 있겠습니까? 처음부터 이기적으로 자기 생각만하고 자기 주장만 내세우고 자기에게 잘해주기만을 바라지 아내에게 도와주고 배려하는면은 없게 됩니다. 결국은 행복하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부모가 아이에게 너무 광이투자를 하면은 아이게는 이렇게 않좋은  면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셋째, 부모의 기대감이 정신적인 압박을 주어 정서가 불안해 지게 됩니다. 부모가 너무 자기에게 잘해주고 큰 기대를 하게되면 자녀는 부담이 되어 불안해 지는 것입니다. 요즘 자살하는 학생들도 이러면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공부도 잘하는 학생이 어느날 갑자기 자살하는 일도 있습니다. 왜그렇겠습니까? 부모의 기대가 너무 짐이 되기 때문입니다. 부모가 자기에게 큰 기대를 거는데 그 기대에 보답하지 못하면 그에게는 능력이나 자신이 없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결국은 자녀에게는 병이 되고 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자녀에게 너무 광잉투자 하는 것은 여러 가지 면에서 좋지 않습니다. 부부에게도 좋지 않고 자녀에게도 좋지 않은 것입니다. 자녀를 위해서 최소한 배려할 것 배려하고 자기 힘으로 못하는 것은 부모가 도와주고 올바른 지도와 자녀에게 자율적인 올바른 선택을 하게 해주어야 합니다.


14. 당신의 성장기 동안에 당신 부모의 부부 관계에서 받은 인상은 어떠합니까?


대부분 우리가 자라는 성장기 동안에 내 부모에 대한 인상이 상당히 깊이 남아 있습니다. 성장기 동안에 부모에게 느낀 인상으로 자신의  부부 생활을 자우하기 쉬워 집니다. 그러면 내 부모의 부부 생활이 내게 미친 영향이 어떤 것입니까? 한번 생각해 보십시오. 


싸우며 욕하는 부모 밑에서 자란 자녀는 성장하면서 ‘나는 저런 생활을 하지 않아야지’라고 생각하며 부모를 미워하게 됩니다. 그러나 그 자녀가 성장해 결혼해서 부부 싸움을 잘한다고 합니다. 또한 엄마가 술집하는 집에서 태어난 자녀도 ‘나는 크면 술파는 사람이 되지 않아야지’라고 생각하며 엄마를 미워하게 됩니다. 이러한 환경을 보고 자란 딸이 결혼해 술집하고 사는 확률이 많다고 합니다. 부모가 술집한다고 미워했는데도 자기도 모르게 커서 살다보면 술집하고 산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자녀에게 자신의 부부 생활이 무엇이라는 것을 심어주고 있다는 것은 부모는 의식해야 됩니다.

 우리는 내가 사는 모습을 내 자녀에게 좋은 것을 심어 줄 수 있어야합니다. 그래서 가정에서부터 그런 것을 가르쳐 주지 못하면 자녀들은 배울데가 없는 것입니다. 사회에서나 학교에서나 배울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사회나 학교는 문란해지고 추악해지고 있습니다. 가정에서 부부 생활은 ‘이런것이다’라는 것을 보여주면 자녀는 그것을 보고 배우는 것입니다. 여러분의 부부 생활이 자녀의 인격속에 깊이 심어져 자녀의 부부 생활에 깊은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건전한 사랑의 모습을 자녀에게 보여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모가 사이 좋게 지내는 것 다정하게 지내는 것 사이 좋게 외출하는 것 사이 좋게 사랑을 나누는 것 대화하는 것 등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그래야 자신의 아들 딸도 결혼해서 그러한 생활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그런 모습을 볼 때 자녀는 우리 엄마 아빠가 서로 사랑하고 있구나는 것을 확신하며 자녀는 안정감을 가지고 성장하게 됩니다. ‘나는 버림 받지 않는다’는 안정감을 갔습니다. 그러나 만일 부부가 매일 싸우고 이혼하면 자녀들은 ‘나는 버림 받을지도 모른다, 나는 어느 쪽으로 가야 될까’ 이러한 생각을 하므로 자녀에게 정서적 안정감이 사라지는 것입니다.

그러나 부모의 영향으로 인해 어떤 딸은 자기 아버지를 보고 자기 남편을 흠모하기도하고 존경하기도 하고 혹은 남편을 미워하며 협오하기도 합니다. 부모에게 받은 인상으로 늘 남편과 아내를 보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현재 부부 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자녀에게 어떠한 인상을 심어주고 있는가?를 생각해보며 좋은 인상을 심어주어야 하겠습니다.


어느 부부의 이야기


여자는 시골에서 자랐는데 자기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잘했다는 것입니다. 옛날 시골에는 연탄을 사용하였습니다. 새벽에 연탄 불이 약해 질 즈음에 방이 추어지지 않기 위해 아버지가 새벽 일찍일어나 방마다 불을 갈아 주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밥하고 뜨거운 물 데워놓고 들에 갔다오는 모습을 보고 자랐다고 합니다. 그래서 결혼해서 자기 남편에게 그런한 것을 바랬다고 합니다. 자주 해달라고 하니까 남편이 아내를 사랑하므로 해주었다는 것입니다. 계속하니까 그런쪽으로 습관이 들어 결국 자기 남편을 자기 아버지처럼 변화를 시켰다는 것입니다. 이러므로 행복하게 살아간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