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43과 10) |
여호수아(4): 기업을 분배하라(1) (13-17장) |
마. 유다 지파의 영토(21-63)
유다 지파가 분배받은 기업의 영토는 그 지리적 특성상 크게 네 부분으로 구분된다.
1) 에돔 경계에 근접해 있는 남방(네게브) 지대(21-32절).
2) 애굽 시내와 지중해로 뻗어 나가는 평지(세펠라) 지대(33-47절)
3) 산악 지대(48-60절)
4) 광야 지대(61, 62절).
위치 상 동쪽에는 사해(염해)와 유대 광야가 놓여 있었고, 서쪽에는 중앙고원 지대와 연결된 많은 구릉과 계곡들이 있었으며, 남쪽에는 메마르고 건조한 네게브 사막 지대였고, 북쪽에는 고원 지대로서 군사적으로 취약한 지역이었다. 유다 지파가 분배받은 영토는 후일 유다 왕국의 중심지로서 이스라엘 역사의 주요 무대가 되었다.
"20 유다 자손의 지파가 그 가족대로 얻은 기업은 이러하니라 21 유다 자손의 지파의 남으로 에돔 경계에 접근한 성읍들은 갑스엘과 에델과 야굴과 22 기나와 디모나와 아다다와 23 게데스와 하솔과 잇난과 24 십과 델렘과 브알롯과 25 하솔 하닷다와 그리욧 헤스론 곧 하솔과 26 아맘과 세마와 몰라다와 27 하살갓다와 헤스몬과 벧 벨렛과 28 하살 수알과 브엘세바와 비스요댜와 29 바알라와 이임과 에셈과 30 엘돌랏과 그실과 홀마와 31 시글락과 맛만나와 산산나와 르바옷과 32 실힘과 아인과 림몬이니 모두 이십구 성읍이요 또 그 촌락이었으며,"
* 애굽 시내와 지중해에 인접한 평지(세펠라) 지역(33-47)
"33 평지에는 에스다올과 소라와 아스나와 34 사노아와 엔간님과 답부아와 에남과 35 야르뭇과 아둘람과 소고와 아세가와 36 사아라임과 아디다임과 그데라와 그데로다임이니 모두 십사 성읍이요 또 그 촌락이었으며, 37 스난과 하다사와 믹달갓과 38 딜르안과 미스베와 욕드엘과 39 라기스와 보스갓과 에글론과 40 갑본과 라맘과 기들리스와 41 그데롯과 벧다곤과 나아마와 막게다니 모두 십육 성읍이요 또 그 촌락이었으며, 42 립나와 에델과 아산과 43 입다와 아스나와 느십과 44 그일라와 악십과 마레사니 모두 아홉 성읍이요 또 그 촌락이었으며, 45 에그론과 그 향리와 촌락과 46 에그론에서부터 바다까지 아스돗 곁에 있는 모든 성읍과 그 촌락이었으며, 47 아스돗과 그 향리와 촌락과 가사와 그 향리와 촌락이니 애굽 시내와 대해 가에 이르기까지였으며,"
* 중앙의 산악 지대(48-60)
"48 산지는 사밀과 얏딜과 소고와 49 단나와 기럇 산나 곧 드빌과 50 아납과 에스드모와 아님과 51 고센과 홀론과 길로니 모두 십일 성읍이요 또 그 촌락이었으며 52 아랍과 두마와 에산과 53 야님과 벧 답부아와 아베가와 54 훔다와 기럇 아르바 곧 헤브론과 시올이니 모두 아홉 성읍이요 또 그 촌락이었으며 55 마온과 갈멜과 십과 윳다와 56 이스르엘과 욕드암과 사노아와 57 가인과 기브아와 딤나니 모두 열 성읍이요 또 그 촌락이었으며 58 할훌과 벧 술과 그돌과 59 마아랏과 벧 아놋과 엘드곤이니 모두 여섯 성읍이요 또 그 촌락이었으며 60 기럇 바알 곧 기럇 여아림과 라빠니 모두 두 성읍이요 또 그 촌락이었으며,"
* 광야 지역(61-62)
"61 광야에는 벧 아라바와 밋딘과 스가가와 62 닙산과 염성과 엔 게디니 모두 여섯 성읍이요 또 그 촌락이었더라."
본문에는 유다 지파에게 할당된 120개의 주요 성읍들이 구체적으로 열거되어 있다. 이러한 유다지파의 영토는 지역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12구역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2) 남쪽의 아둘람(Adulam)에서 북쪽의 그데라(Gederah)에 이르는 평지로서, 현재 '예루살렘-얍바'간의 철도를 따라 남북으로 뻗어 있는 지역(33-36절)
3) 제 1, 2구역 중간에 있는 남부 평지(37-41절)
4) 마레사(Mareshah)를 중심으로 한 제 2, 3구역 사이에 있는 지역(42-44절)
5) '애굽 시내'와 연접한 남부 해변 평야 지대. 이 구역의 중심지인 에그론(Ekron)은 블레셋의 5대 도시 중에 하나였으며, 얼마 후에 단 지파의 소유가 되었다(45-46절; 19:43)
6) 애굽과 가나안의 관문에 있는 지역. 그 중심지였던 아스돗(Ashdod)은 오랫동안 미 정복 상태로 남아 있다가 웃시야 왕 때에 정복되었다(47절; 대하 26:6).
7) 북쪽으로 제 1구역과 인접된 지역. 그 중심지는 드빌(Debir)이었다(48-51절)
8) 제 7구역의 북쪽과 제 3, 4구역의 동쪽에 있는 남부 산지. 그 중심지는 헤브론(Hebron)이었다(52-54절)
9) 헤브론 남부 유대 산지의 동쪽에 위치한 지역(55-57절).
10) 헤브론 북쪽에 인접해 있는 산맥 지대(58, 59절)
11) 유다 지파의 북부 경계선 주변에 위치한 지역(60절)
12) 베냐민 지파와의 접경 지대(18:21-24)인 동시에 동부 경사지에 해당하는 지역(61, 62절)
이와 같이 유다 지파에게 할당된 성읍들은 그들이 살기에 너무 넓은 땅이었다. 그래서 나중에 시므온 지파의 기업은 유다 지파의 기업 중에서 배당되었다(19:1-9). 따라서 이는 '내가 그들을 야곱 중에서 나누며 이스라엘 중에서 흩으리로다'(창 49:7)라는 시므온에 대한 야곱의 예언이 성취되었다.
"예루살렘 거민 여부스 사람을 유다 자손이 쫓아내지 못하였으므로 여부스 사람이 오늘날까지 유다 자손과 함께 예루살렘에 거하니라(63)."
유다 지파가 여부스 족속(the Jebusites)을 쫓아내지 않고 그들이 예루살렘에 거주하도록 내버려 둔 것은 가나안 족속과는 언약을 맺거나 그들을 불쌍히 여기지 말라는 하나님의 명령(신 7:2)을 거역한 행위였다. 유다 지파가 여부스 족속을 쫓아내는 일에 최선을 다하지 않은 것은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나태한 마음가짐에서 연유한 것이었다(Calvin, Matthew Henry).
이러한 모습은 초기 가나안 정복 때의 신앙적이며 순종적인 모습과는 대조되는 모습이다. 과거에 예루살렘 왕 아도니세덱은 다른 네 왕들과 합세하여 이스라엘을 대적했으나 결국 모두 죽임을 당하고 말았다(10:22-27). 하지만 그때에 예루살렘이 정복당했다는 언급이 없으며 그 이후에 유다 지파도 예루살렘을 정복하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 (삿 1:8)에서 유다 자손이 예루살렘을 쳐서 성읍을 불태웠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예루살렘을 부분적으로 점령한 것을 의미할 뿐 완전히 점령한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예루살렘의 여부스 족속은 B. C. 1000년 경 다윗 왕 때가 되서야 비로소 완전히 점령하였다(삼하 5:1-6). (삿 1:21)에서는 이들을 베냐민 지파가 쫓아내지 못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 기록은 모순된 것이 아니었다. 왜냐하면 이 예루살렘 성은 유다 지파와 베냐민 지파의 경계선 상에 있었기 때문이다. 아마도 그들은 서로에게 책임을 미루며 시간을 보냈던 것으로 보인다. 여호수아서 저자는 이 책을 쓸 때까지 예루살렘 거민인 여부스 족속(the Jebusites)이 예루살렘 성에 살고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말은 여호수아서가 예루살렘이 완전히 정복된 다윗 왕 이전에 기록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Pulpit).
'━━ 보관 자료 ━━ > 인터넷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43과 12) (0) | 2008.07.05 |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43과 11) (0) | 2008.07.04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43과 9) (0) | 2008.07.02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43과 8) (0) | 2008.07.01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43과 7) (0) | 2008.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