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들은 왜? 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4-11. 왜 어떤 식품은 육류와도 함께 사용할 수 있고, 유제품과도 함께 사용할 수 있을까? 육류도 아니고 유제품도 아닌 식품을 ‘파러버(pareve, 또는 parev)’라고 하는데, 이디쉬어로 ‘중립’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파러.. ━━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2012.09.25
유대인들은 왜? 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4-6. 왜 코셔가 아닌 음식을 ‘테레이파(terayfa)’라고 할까? 테레이파(종종 ‘트레이프(trayf)’라고 잘 못 읽기도 한다)는 히브리어로 ‘찢어졌다’라는 뜻이다. 출애굽기 22장 31절에 보면, “너희는 내게 거룩한 사람이 될.. ━━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2012.09.24
유대인들은 왜? 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4-1. 왜 유대인은 코셔 식사법을 지킬까? 유대인들은 코셔(kosher, 정결) 카쉬룻(kashrut, 식사법) 율법을 지키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다시 떠올린다. 이 법들은 오랜 세월 동안 유대민족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고리 역할을 해왔.. ━━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2012.09.22
유대인들은 왜? 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3-86. 왜 이즈코르(Yizkor)를 유월절, 오순절, 초막절에도 낭송할까? 위에서 언급했듯이, 이즈코르는 원래 대속죄일에만 낭송되던 추도(追悼) 기도문이었다. 그러나 나중에는 3대 주요 명절인 유월절, 오순절, 초막절(실제로는.. ━━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2012.09.21
유대인들은 왜? 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3-81. 왜 유족은 처음 일 년 동안 묘지에 찾아가지 않을까? 사람이 죽은 지 일 년이 되기 전에 유가족이 그 무덤에 찾아가면 심리적인 죄책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너무 일찍부터, 또 너무 자주 무덤에 찾아가면 이.. ━━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2012.09.20
유대인들은 왜? 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3-76. 왜 어떤 사람들은 매장한 날을 야짜이트(추도일)로 지킬까? 야짜이트는 사람이 죽은 날에 지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 가지 예외가 있다면, 사람이 죽은 날로부터 삼일 또는 그보다 더 지난 후에 매장됐을 경우로써, .. ━━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2012.09.19
유대인들은 왜? 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3-71. 왜 제막식에는 랍비가 기도문을 낭독하지 않아도 될까? 제막식이나 장례식은 랍비가 없어도 행사를 진행할 수 있다. 랍비가 아니라도 규정에 따라 시편의 말씀을 낭독할 수 있다. 3-72. 왜 무덤이나 묘비 위에 잔디풀 .. ━━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2012.09.18
유대인들은 왜? 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3-66. 왜 단순하고 값싼 묘비를 사용하도록 할까? 값비싼 묘비는 남에게 보여 주고 자랑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학자들은 “가난한 자와 부한 자가 함께 살거니와 그 모두를 지으신 이는 여호와시니라”라는 잠언 22장 2절.. ━━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2012.09.17
유대인들은 왜? 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3-61. 왜 유족들 중 여성은 카디쉬를 암송하지 않아도 될까? 율법에 따르면 돌아가신 부모님을 위해 카디쉬를 암송하는 일은 아들에게 내려진 임무이기 때문에 아들이 없더라도 딸에게는 카디쉬를 암송할 책임이 없다. 정.. ━━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2012.09.15
유대인들은 왜? 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3-56. 왜 유족들은 ‘카디쉬(Kaddish)’를 낭독할까? 카디쉬(애도자의 기도문)는 회당 예배 때 낭독하는 고대 시로써, 아람어로 되어 있다. 애도자의 입장에서, 고뇌에 지쳤지만 하나님을 믿고 삶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마음을 .. ━━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2012.09.14
유대인들은 왜? 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3-51. 왜 쉬바 기간은 일곱 번째 날 아침 일찍 끝날까? 유대 전통은 하루의 일부를 온전한 하루와 동일하게 본다. 유족이 장례를 치른 날 한 시간 밖에 쉬바를 지키지 못했더라도 하루를 온전히 지킨 것으로 간주한다. 마찬.. ━━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2012.09.13
유대인들은 왜? 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3-46. 왜 쉬바 기간에 유족들에게 평소처럼 인사하는 것은 결례가 될까? 유족들이 정신적으로 힘든 시기를 겪고 있다는 사실을 모두가 알고 있는데 아무 일도 없는 것처럼 행동하면 유족들은 모욕감을 느낄 수 있다. 성경에.. ━━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2012.09.12
유대인들은 왜? 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3-41. 왜 쉬바 기간에는 머리를 자르거나 면도를 하지 않을까? 유족들은 사회에서 잠시 물러나겠다는 표현으로 칠일 동안 면도를 하지 않으며, 치장도 하지 않는다. 슬픔을 표출하고, 편리한 시설에는 무관심하다는 것을 보.. ━━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2012.09.11
유대인들은 왜? 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3-36. 왜 ‘쉬바(Shiva)’라는 애도 기간을 칠일 동안 지킬까? 가장 깊은 애도의 기간을 칠일(‘쉬바’는 히브리어로 일곱을 뜻한다)로 잡은 것은 아모스 8장 10절 즉 “너희 절기(보통 칠일 동안 계속되었다)를 애통으로 …… .. ━━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2012.09.10
유대인들은 왜? 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3-31. 왜 유족들은 장례식을 마친 후 영구차를 한두 블록 따라 갈까? 사람들은 회당이나 교회에서 장례식이 끝나면 엄숙하게 행렬을 지어 죽은 사람을 배웅한다. 이때 유족들도 영구차를 한두 블록 따라간다. 이 전통은 사.. ━━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2012.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