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자의 금기사항 4가지 지도자의 금기사항 4가지 모든 공동체의 성패를 가름하는 핵심에는 지도자가 놓여있다. 지도자에 의해서 공동체가 바로 서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한다. 경영학의 아버지라고 불리우는 피터 드러커는 모든 공동체의 지도자가 결코 해서는 안될 4가지의 금기사항을 말했다. 그가 말하는 4가.. ━━ 지성을 위한 ━━/Leadership 2017.06.23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F.리더쉽(leadership) 개발을 위한 제언(提言) 우리는 이제 리더쉽(leadership) 개발을 위해 관심있는 연구 분야의 도움으로 몇 가지 힌트를 얻을 수 있다. 1)철학있는 리더쉽(leadership):지도자는 자기가 이끄는 피지도자가 어디를 향해 가며, .. ━━ 지성을 위한 ━━/Leadership 2017.06.21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E.왜곡된 리더쉽(leadership)의 회복을 위하여2. 위 성경 말씀에 다른 사람을 구원하게끔 영향력을 줄 수 있는 방법으로 두 개의 명령이 결합되어 나타난 것이다. 그것은 “가르침”과 “행함-즉 시범”이다. 바울과 디모데는 시범의 원리.. ━━ 지성을 위한 ━━/Leadership 2017.06.20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E.왜곡된 리더쉽(leadership)의 회복을 위하여1. 1)인식의 전환: 일반적으로 교회 지도자는 按手를 받은 목사,장로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안수받은 직책’이라는 것은 리더쉽(leadership)을 행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 안.. ━━ 지성을 위한 ━━/Leadership 2017.06.19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D.현대 한국교회가 원하는 리더쉽(leadership) 이제 현대 한국교회가 원하고 있는 ‘리더쉽(leadership)’에 대해 고찰하려고 하는데,그 자료의 객관성과 다양성을 고려하기란 어렵긴 하지만,이미 연구된 몇 개의 자료를 여기에 정리해 보고.. ━━ 지성을 위한 ━━/Leadership 2017.06.17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C.한국교회의 리더쉽(leadership) 변천사(變遷史) 위에서 살펴 본 바에 의하면 한국인은 왕조마다 각기 다른 종교를 편력해 왔으며 그 때마다 재래 종교인 ‘무교’의 바탕에서 적절히 변형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제는 기독교가 들어온 .. ━━ 지성을 위한 ━━/Leadership 2017.06.16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B.한국인의 종교의식 3)유교적 편력(遍歷) 공자의 근본 사상은 仁에 있었는데 이것이 이조에 와서 仁의 근본사상을 孝로 해석하여 유교의 종교적 의식구조의 중심체제를 형성하여 보수적 정체성을 띠고 있다.유교의 신(神)은 인간 자.. ━━ 지성을 위한 ━━/Leadership 2017.06.15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B.한국인의 종교의식 2)불교적 편력(佛敎的 遍歷) 불교는 4세기 경에 우리나라에 전래되었으니 1600년에 걸친 역사를 갖고 있다.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신라(新羅) 때와 고려(高麗) 때에는 정치권에도 영향을 끼쳤고 현재도 통계상으.. ━━ 지성을 위한 ━━/Leadership 2017.06.14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B.한국인의 종교의식 1)무속 신앙(巫俗信仰) 처음 한국인은 북방 우랄알타이 산맥을 중심으로 활동했는데 그들이 만주와 한반도로 이주해 오면서 무교적 문화도 함께 가지고 왔다. 그후 고조선 이래로 무속이 한국인의 종교적 바탕을 .. ━━ 지성을 위한 ━━/Leadership 2017.06.13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A.한국교회의 한국학적 배경 한국인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 사상을 이어받고 있다. 이 전통 사상이라 함은 고정불변의 철학 원리가 아니라 시대나 환경에 따라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하는 민족의 생활 양식과 가치관을 지배해온 “精神.. ━━ 지성을 위한 ━━/Leadership 2017.06.12
III.현대교회 리더쉽(leadership)의 변화 III.현대교회 리더쉽(leadership)의 변화 C.교회 리더쉽(leadership)의 여러 가지 유형 목회자들에게도 여러가지 유형의 리더쉽(leadership)이 있다고 전제하면서 박종순 목사는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55) 1)독재적 유형:이 유형의 교회 지도자는 독재자처럼 교인들 앞에 군림하며,언제 어디서 무엇.. ━━ 지성을 위한 ━━/Leadership 2017.06.10
III.현대교회 리더쉽(leadership)의 변화 III.현대교회 리더쉽(leadership)의 변화 A.변화하는 세계 지금 우리 현대인은 급변하는 세계에 살고 있다. 그 변화의 내용을 살펴 보면 과학,문화,정치구조,도덕,종교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이 인간 생활의 전분야에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44) 이 변화에 따른 자연 환경의 변화는 次置.. ━━ 지성을 위한 ━━/Leadership 2017.06.09
II.성경에 나타난 리더쉽(leadership) II.성경에 나타난 리더쉽(leadership) C.종합 지금까지 성경에 자타난 리더쉽(leadership)을 고찰해 보았다. 성경에는 많은 하나님의 종이 있으나 그 중에 리더쉽(leadership)에 해당하는 직책은 ‘왕’,‘목자’,‘종’,‘감독’ 그리고 ‘장로’ 등이다. 이들은 모두 하나님의 종이라는 범주에서 .. ━━ 지성을 위한 ━━/Leadership 2017.06.08
II.성경에 나타난 리더쉽(leadership) II.성경에 나타난 리더쉽(leadership) B.신약에서 영어의 “laity(평신도)”의 어원인 헬라어의 “λαοσ”는 신약에서 교회의 전문직 스태프와 교회의 다른 구성원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결코 사용되지 않았다. 라이트푸트는 “모든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의 성직자(κλεροι)다”라고 .. ━━ 지성을 위한 ━━/Leadership 2017.06.07
II.성경에 나타난 리더쉽(leadership) II.성경에 나타난 리더쉽(leadership) 3)리더쉽(leadership)을 발휘한 사람들 (a)민족의 지도자 모세:모세에게서 발견되는 ‘소명’의 패턴은 신약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까지 크게 교훈을 준다.그는 처음 애급 궁정에서 공주의 아들로서 지위를 갖고 있었다. 그 자체만으로도 ‘지위이론’에.. ━━ 지성을 위한 ━━/Leadership 2017.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