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1039

유대학 핸드북 - 제5장 유대인의 글과 상징과 행동

유대학 핸드북 - 제5장 유대인의 글과 상징과 행동 5.2. 상징물 메쭈짜: 유대인 가정에 가 보면 현관 문설주에 길죽한 모양의 작은 상자가 달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을 ‘메쭈짜’라고 하는데 문설주란 의미의 히브리어다. 이것은 행운을 기원하는 표식도 아니고 첫번째 유월절에 어..

유대학 핸드북 - 제5장 유대인의 글과 상징과 행동

유대학 핸드북 - 제5장 유대인의 글과 상징과 행동 5.1. 유대인의 글 5.1.1. 히브리어 우리 기독교인들은 히브리어를 사랑한다. 구약 성경이 히브리어로 기록 되었기 때문이다. 구약성경의 히브리어를 우리는 성경 히브리어(Biblical Hebrew)라고 부른다. 오늘날 우리가 접하고 있는 장방형의 히..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4.19. 작은 절기들 유대력에는 다섯 개의 작은 절기들이 있다. 이 절기들은 유대교의 성인들이 국가적 비극을 기억하기 위해 정한 것이다. 이 절기들에는 욤 키푸르나 티샤 브아브처럼 해가 질 때부터 그 다음날 밤까지 금식을 한다. 그리고 해..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4.18. 엘룰 엘룰은 로쉬 하샤나와 욤 키푸르를 준비하는 회개의 시간이다. 엘룰이란 말은 아가서 6장 3절의 “아니 르도디 브도디 리”라는 말의 머릿말이라고 한다. 그 의미는 “나는 내 사랑의 것이며 나의 사랑은 내 것이다”이다. 아람어로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4.16. 오순절 - 샤부오트 샤부오트를 칠칠절 또는 오순절이라고 한다. 페싹 (유월절), 수꼬트(초막절)와 함께 성경의 3대 절기다. 이날은 역사적으로, 농업적으로 중요한 날이다. 이날 처음 익은 열매들이 추수되어 예루살렘 성전으로 보내어 진..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4.14. 유월절 - 페싹 4.14.3. 페싹 세데르 메뉴얼 준비물: 1. 시편이 들어있는 성경책, 2. 찬송가 또는 유월절 노래집, 3. 맡쪼트 (무교병, 3배수로 마련할 것), 4. 마로르 (고추냉이 소스), 5. 하로세트 (과일, 견과, 향신료, 포도주로 만든 소스), 6. 싱싱..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4.14. 유월절 - 페싹 페싹, 즉 유월절은 니싼 15일에 시작된다. 유월절은 아마도 유대교에서 가장 중요한 절기일 것이다. 페싹의 이야기는 출애굽기 1-15장에 실려있다. 페싹은 히브리어로 ‘뛰어넘다’란 뜻이다. 하나님께서 애굽의 모든 장자들..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4.12. 투 브 쉐바트 - 나무들의 신년 쉐바트 15일은 ‘투 브쉐바트’로 나무들의 신년이다. ‘투’는 히브리 문자 타우와 바브로 15란 의미다. 유대력에는 몇개의 신년이 있다. 레위기 19장 23-25절에 따르면 나무가 열매를 맺기 시작하면 3년 동안..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4.11. 하누카 4.11.1. 하누카 이야기 하누카는 키슬레브 25일에 시작되어 8일 동안 진행되는 절기다. 빛의 절기라고도 한다. 하누카는 토라의 절기가 아니라 유대인들의 역사 속에서 빚어진 세속적 사건의 기념일이다. 알렉산더가 시리아, 이집트,..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4.9. 초막절 - 수꼬트 수꼬트는 티슈리 15일에 시작한다. 욤 키푸르 5일 후다. 수꼬트는 변화가 심했던 절기이며 아주 즐거운 의미를 지닌 절기다. 수꼬트를 ‘쯔만 심크하테이누’라 하는데 ‘우리들의 즐거운 절기’란 의미다. 수꼬트는 7일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4.8. 속죄일 - 욤 키푸르 욤 키푸르는 유대인들에게 있어 1년 중 가장 중요한 날이다. 아무리 종교적이지 않은 유대인이라도 이 날 만큼은 회당에 온다. 욤 키푸르는 티슈리월 10일이며 레위기 23장 26절에 근거한다. 욤 키푸르는 속죄절이란 의미..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4.7. 야밈 노라밈 - 근신의 날들 로쉬 하샤나로 시작해서 욤 키푸르로 끝나는 열흘을 히브리어로 야밈 노라밈, 즉 근신의 날들이라고 한다. 이 기간에 내면성찰을 하며 지난 해에 지은 죄들을 생각하고 욤 키푸르 이전에 이를 회개한다. 근신의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4.6. 유대신년 - 로쉬 하 샤나 로쉬 하샤나는 티슈리 월의 첫째날과 둘째날을 말한다. 히브리어 로쉬 하샤나는 ‘그 해 첫날’이란 뜻이다. 로쉬 하샤나는 유대인들의 설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로쉬 하샤나는 성경에 나오지 않는 절기다.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4.5. 유대교의 절기와 티슈리 4.5.1. 서론 유대교의 모든 절기는 그 날짜의 전날 저녁에 시작한다. 왜냐하면 유대인들의 하루는 창세기 1장에서 보듯이 일몰에서 시작하여 그 다음 일몰까지이기 때문이다. 일몰은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절기의..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4.4. 샤밭 - 안식일 4.4.8. 하브달라 - 주일만찬 준비할 것 1. 윗쪽으로 가늘어 지는 길고 가는 초 두 개를 끓는 물 위에서 서로 꼬이도록 만든다. 이런 초를 만들 때 화상을 입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하라. 2. 향기나는 물건을 담은 단지나 상자. 3. ..